지구 온난화로 바싹 말라버린 땅…“회복 불가능”

오경민 기자 2025. 3. 30. 15: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년 8월16일, 가뭄으로 스페인 중서부 엑스트레마두라 지방의 과디아나강 일부가 말라있다. AFP연합뉴스

지구 온난화로 전 지구 토양이 머금은 수분이 크게 감소했으며, 지금과 같은 온난화 추세가 계속된다면 수분량이 회복될 가능성은 없다고 전망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기원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와 류동렬 호주 멜버른대 교수 등 국제공동연구팀이 쓴 이 같은 내용의 논문이 지난 27일 국제학술지인 사이언스지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해수면 상승 정도, 자전축 변화 관측 자료 등을 결합한 결과 2000년대 들어 지구 토양의 수분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2000년에서 2002년 사이 1614Gt(기가톤)에 달하는 물이 토양에서 빠져나간 것으로 파악했다. 2002~2016년 사이에는 1009Gt의 물이 고갈됐으며 2021년까지 토양 수분 함량은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지구 상수원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일어났으며 지금과 같이 지구 온난화가 지속할 경우 토양 수분량이 회복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전망했다.

지난 25년간 지구 온난화로 인해 강수 패턴이 변하고 대지의 ‘증발산량’이 증가하면서 육지가 광범위하게 건조해졌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강수량은 줄고, 토양에서 빠져나가는 물의 양은 늘었다는 것이다. 증발산량은 증발과 증산 작용에 의해 토양에서 방출되는 수증기량을 말한다. 증발산량이 증가하면 사용가능한 물의 양이 줄어들고 농작물 피해와 가뭄이 발생한다. 기온이 상승하면 증발산량도 증가한다.

류동렬 교수는 영국 기후단체 ‘카본브리프’에 “예전에는 강수량이 증가하면 토양 수분이 회복됐지만, 증발산량의 증가로 이제는 ‘비가 오는 해’에도 토양 수분 증가가 관찰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빙하 소실보다 토양 수분 함량 감소가 21세기의 해수면 상승에 더 주요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했다. 육지의 수분이 줄면서 발생하는 해수면 상승이 매년 2㎜에 달하는 것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다. 그린란드의 빙하 손실로 인한 해수면 상승률은 연간 0.8㎜다.

연구진은 “가뭄은 매우 느리게 나타나고 오래 지속한다”며 “전 지구적 가뭄을 염두에 두고 미래 기후를 예측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경민 기자 5k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