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성 상품화' 비판받은 언더피프틴, 결국 편성 취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만 15세 이하 아동들이 걸그룹 데뷔를 위해 경쟁하는 MBN 방송 프로그램 <언더피프틴> (under15)의 제작사가 아동 성 상품화 비판을 받고 첫 방영 사흘 전 편성 일정을 취소했다.
<언더피프틴> 제작사 '크레아 스튜디오'는 28일 입장문을 내고 "깊은 고심과 회의 끝에 현재 예정돼 있던 31일 방송 일정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만 15세 이하 아동들이 걸그룹 데뷔를 위해 경쟁하는 MBN 방송 프로그램 <언더피프틴>(under15)의 제작사가 아동 성 상품화 비판을 받고 첫 방영 사흘 전 편성 일정을 취소했다.
<언더피프틴> 제작사 '크레아 스튜디오'는 28일 입장문을 내고 "깊은 고심과 회의 끝에 현재 예정돼 있던 31일 방송 일정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제작진은 "출연자 보호와 재정비를 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결정했다"며 "이에 MBN에서는 편성하지 않는다. 앞으로 프로그램의 본질과 참자들의 진심이 훼손되지 않도록 제작하겠다"고 했다.
<언더피프틴>은 만 15세 이하 여아들이 아이돌 데뷔를 위해 경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작사인 크레아 스튜디오가 공개한 홍보물에는 2016년생 아동이 노출이 있는 복장을 입고 있으며, 각 포스터에 바코드를 그려 넣어 국내외에서 '아동 성상품화'라는 비판을 받았다.
비판이 거세지자 MBN은 21일 방영 여부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으나 제작사는 간담회를 열고 강행 의지를 밝힌 바 있다. 크레아 스튜디오의 서혜진 공동대표는 25일 서울 마포구 스탠포드호텔에서 간담회를 열고 "<언더피프틴> 제작진은 어린 친구들을 성 상품화했거나, 이들을 이용해 성 착취 제작물을 만들지 않았다"며 "엄청난 오해가 있었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고 해명했다.
서 대표는 홍보물 속 바코드를 두고 "학생증 콘셉트에서 가져온 것이다. 요즘 학생증에는 생년원일과 바코드가 들어간다"고 했다. 또한 "2주 전에 벌써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완본을 보냈고 그분들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내부적으로 검토했다"고 강조했으나, 실제로는 방심위에 완본 프로그램을 보내거나 심의를 받은 바 없어 사과하기도 했다.
[박상혁 기자(mijeong@pressian.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블랙리스트' 작성해 동료 신상 유포한 의사, 자격 1년 정지된다
- '아동 성 상품화' 비판받은 언더피프틴, 결국 편성 취소
- 유학생 이어 유럽 관광객까지 구금한 트럼프 정부…"붙잡힐라" 미 여행 취소 줄이어
- [단독] "시국이 좀 그래서" 성신여대, '내란' 들어간 홍보물 게재 막았다
- 조갑제와 정규재의 이유 있는 투쟁, 노병은 죽지 않는다
- 산불, 드디어 잡혔다…산림청 "경북 주불 진화 완료"
- 정부·여당 수뇌부 '산불 피해' 안동 집결…'산불 추경' 공감대
- 트럼프-푸틴 '브로맨스', 북극까지? 푸틴 "美 그린란드 야욕, 놀랄 일 아냐"
- '2심 무죄' 이재명,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 첫 참석…'통합' 메시지
- "내란 후 4개월, 참을 만큼 참았다…헌재를 포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