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 “식품업체 가격인상, 타당성 부족…소비자 외면”

정혜아 객원기자 2025. 3. 28. 16: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비자단체가 최근 가격 인상에 나선 식품 기업들을 겨냥해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이윤 추구를 위해 소비자들을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녹색소비자연대 등 10여 개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협의회는 "식품 기업들이 3∼4월 식품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환율과 국제 식량 가격 상승을 근거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실적 개선과 이윤추구를 위해 소비자 부담을 외면한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품가격을 합리적 수준으로 돌려 소비자 신뢰 회복해야”

(시사저널=정혜아 객원기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28일 가격 인상에 나선 식품 기업들을 겨냥해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이윤 추구를 위해 소비자들을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소비자단체가 최근 가격 인상에 나선 식품 기업들을 겨냥해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이윤 추구를 위해 소비자들을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28일 성명을 통해 "K푸드의 해외 인기로 식품기업의 실적 호조가 예상돼 주가도 오르는 상황에서 연쇄 가격 인상은 타당성이 부족하고 소비자들이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녹색소비자연대 등 10여 개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협의회는 "식품 기업들이 3∼4월 식품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환율과 국제 식량 가격 상승을 근거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실적 개선과 이윤추구를 위해 소비자 부담을 외면한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코아와 원두 등 일부 원재료 가격이 올랐지만, 밀가루와 식용유, 옥수수 등은 지난해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하락했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식품업계의 원가 부담 완화를 위해 코코아생두·커피농축액·설탕 등 13개 품목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수입 부가가치세(10%) 면제, 원료 구입 자금 등의 지원 정책도 내놨다고 덧붙였다.

또한 협의회는 주요 식품기업의 지난해 실적을 보면 총 매출원가 증감률이 총매출액 증감률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아 원가 부담이 크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남양유업의 지난해 매출은 2023년보다 4.4%, 매출원가는 6.3% 각각 줄었다. 같은 기간 동서식품 매출은 2.0% 증가했는데 매출원가는 1.4% 늘었다. 롯데웰푸드의 매출은 0.5%, 매출원가는 2.9% 각각 감소했다. 이어 협의회는 남양유업(86.3%), 동서식품(6.2%), 동원F&B(10.0%), 대상(43.0%), 빙그레(17.0%), 오리온(10.4%), CJ제일제당(20.2%), SPC삼립(3.5%) 등 식품기업의 2024년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도미노 가격 인상이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더 위축시킬 것"이라며 "지나친 가격 인상을 중단하고 원재료 하락분을 반영해 제품가격을 합리적 수준으로 돌려 소비자 신뢰 회복과 가격 안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에 "물가안정에 동참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세제와 관세 혜택을 철저히 재검토해 실질적인 소비자 혜택 중심의 지원 정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