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차관 "먹거리 물가 안정 총력"… 업계 가격인상 늦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부 채소와 식품·외식 등 품목에서 국민이 느끼는 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정부가 업계와의 협의를 통해 가격 인상을 미루게 하거나 시기를 쪼개는 등 조치를 통해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해 △농축수산물·가공식품 품목별 가격동향 및 대응계획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추진상황 △민생 밀접 분야 시장감시 강화 및 제도 개선 추진상황 등을 논의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부 채소, 식품·외식 가격 부담"
업계 협의 가격인상 최소화 방침
일부 채소와 식품·외식 등 품목에서 국민이 느끼는 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정부가 업계와의 협의를 통해 가격 인상을 미루게 하거나 시기를 쪼개는 등 조치를 통해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해 △농축수산물·가공식품 품목별 가격동향 및 대응계획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추진상황 △민생 밀접 분야 시장감시 강화 및 제도 개선 추진상황 등을 논의했다.
김 차관은 이 자리에서 "최근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둔화하고 있으나, 배추·무 등 일부 채소류와 식품·외식 등 체감물가 부담이 여전하다"며 "범부처 공동으로 국민 생활과 밀접한 먹거리 가격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할 것"을 강조했다.
우선 기존 식품 원자재 할당관세, 구매자금 지원, 커피·코코아 수입부가세 면제 등 조치는 지속하기로 했다. 아울러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업계와 가격 인상시기 이연·분산, 인상률·인상제품 최소화 등을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다음 주엔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도 발표한다. 해당 방안엔 구조적으로 농수산물 가격을 안정화시키고 소비자 편익을 제고하기 위해 농수산물 유통경로를 다양화해 경쟁을 촉진하고, 유통단계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대책이 담긴다.
김 차관은 경북 등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과 관련해서도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긴밀히 협력해 주민 안전에 만전을 기하라"며 "산불 발생 인근 지역의 농축산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지역 농산물 수급 상황도 면밀 점검해 적기 대응하라"고 당부했다.
세종= 이유지 기자 maintai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어르신 눈 마주쳤는데 못 구했어요"… 시속 8km 산불 덮친 그날 | 한국일보
- 중도층 70% "尹 탄핵 찬성"... 여야 지지도 석 달 만에 오차범위 밖 [한국갤럽] | 한국일보
- "이걸 먹고 어떻게 산불 진압하나"... 누리꾼들, 부실한 소방관 식사에 '공분' | 한국일보
- 이상인 셋째 아들, 돌연 母 눈 찌르고 폭력... "훈육 통하지 않아" | 한국일보
- [단독] 서울대 의대생 100% 등록…대규모 제적 사태 일단 피했다 | 한국일보
- "안고 자고 싶어"... 故 김새론 유족, 9년 전 김수현 메신저 대화 공개 | 한국일보
- "더 맛있게 하려고"... 훠궈 향신료에 '양귀비' 넣은 中 식당 주인 | 한국일보
- [르포] '산소 카페'서 '잿빛 마을'로… 평생 일군 사과밭선 연기만 | 한국일보
- 주민 구할 맘에 전등도 못 꺼... 주인 잃은 이장댁, 홀로 환했다 | 한국일보
- 美 ‘1200억 원 복권’ 잭팟 터뜨렸는데… 당첨금 못 받고 있는 이유는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