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들 청바지 직구하면 안되겠네"···유해물질 157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무·쉬인·알리익스프레스 등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청바지에서 국내 기준치를 157배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섬유 제품과 완구 41종을 대상으로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 및 내구성을 검사한 결과 유해물질이 검출했다고 28일 밝혔다.
유해물질 노출 시 피해가 큰 유아용 섬유제품에서도 납, 카드뮴 등 유해 물질이 초과 검출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1개 가운데 10개 제품이 부적합
여아 청바지 유해물질···157배 초과
테무·쉬인·알리익스프레스 등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청바지에서 국내 기준치를 157배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섬유 제품과 완구 41종을 대상으로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 및 내구성을 검사한 결과 유해물질이 검출했다고 28일 밝혔다.
조사 결과 어린이용 31종, 완구 5종, 선글라스 2종, 가방 3종 등 41종 가운데 10개 제품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이들이 유해물질에 직접 닿을 수밖에 없는 아동용 섬유제품 5종이 기준을 초과하거나 물리적 안전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여아 청바지는 고무 단추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국내 기준치 대비 157.4배 초과 검출됐다.
남아 청바지 주머니감에서는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보다 1.2배가, 여아 치마 원단에서는 1.02배가 각각 초과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다.
품질도 좋지 못해 끈이 지나치게 길고 마감이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은 여아 치마를 비롯해 국내 어린이옷에서는 금지된 3차원 장식물을 단 아동 니트도 적발됐다.
유해물질 노출 시 피해가 큰 유아용 섬유제품에서도 납, 카드뮴 등 유해 물질이 초과 검출됐다.
유아 블라우스에 부착된 브로치에서는 납이 기준치의 1.7배, 카드뮴은 기준치의 1.8배를 각각 초과했다. 해당 브로치의 핀은 날카롭게 제작돼 문제로 지적됐으며, 유아 레깅스 3개 색상 제품 모두 리본 장식 길이가 국내 기준치를 넘어섰다.인형 2개 제품은 금속지퍼가 날카로워 찔림, 베임 등의 위험이 있었다.
자동차 완구의 내부 흰색 연질 전선에서는 납이 기준치 대비 57.7배, 카드뮴이 1.5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157배 각각 초과 검출됐다. 붉은 연질 전선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81.7배 초과 검출되기도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에 대해서는 해당 플랫폼에 판매 중단을 요청했다”며 “다음 달에는 어린이날을 앞두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완구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chopi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언제 너 안고 잠들 수 있어' 김수현 문자 공개…유족 측 '故김새론, 당시 17세였다'
- '활동중단 선언' 뉴진스 “가처분 인용 충격…더 이상 활동할 수 없을 지도'
- '한국인, 머리 빠지는 이유 있었네'…'원형탈모' 이유 밝혀졌다
- 'JMS 성폭행 폭로' 다큐 '나는 신이다' PD, 무혐의 처분…檢 '정당행위'
- '승무원들이 뿌린대' 입소문 난 그 화장품…5000만병 팔리더니 상장 '도전장'
- 日 전설의 350승 투수, 슈퍼서 '3000원 어치' 술 훔치다 덜미
- “천년고찰 못 지켜서 정말 죄송'…눈물 흘린 고운사 스님에 쏟아진 위로
- '혼자 사는 50대 이상 남성이 위험하다'…개인파산 신청 '역대급'
- 직원들 평균 7700만원 받을 때 '81억' 수령…106배 더 받은 회장님, 누구?
- '한국인 관광객 절대 오지 마'…단단히 뿔난 日 쓰시마섬 신사, 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