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수학의 ‘근본’…400년 세월 담긴 수학책 3000권 한 자리에

김정훈 기자 2025. 3. 28. 14: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영수 수학교과서연구소 소장
‘산학계몽’ 1660년 목판본부터
30년간 모은 서적 의령군에 공개
수학책 3천권 모은 김영구씨. 의령군 제공

경남 의령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2000년대까지 400년 동안 출판된 수학책 3000권을 볼 수 있다.

김영수 수학교과서연구소 소장(66)은 유네스코 지정 ‘세계 수학의 날’(3월 14일. 원주율 근삿값 3.14에서 착안)을 맞아 그동안 수집한 수학책을 의령군에 공개했다.

김 소장은 의령군 가례면 자굴산 기슭에서 매실 농장을 운영하며, 전국을 돌며 30년간 수학책을 수집한 별난 이력을 갖고 있다.

그의 소장한 책은 조선 시대, 일제강점기, 해방에서 6·25전쟁까지, 1950년부터 2000년까지 등 크게 4개 시기로 구분돼 있다.

김 소장은 의령지역과 관련이 있는 이상익의 <신식 산술교과서>(1908)를 먼저 소개했다. 수학자 이상익은 삼성그룹 창업주 호암 이병철 회장이 중동학교에 다닐 때 수학 담당 교사로 이 회장을 가르친 스승이다.

이상익은 ‘헤이그 특사’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친동생으로 <근세산술>이란 수학 교과서를 쓰는 등 근대 수학교육에 선구적 역할을 했다.

가장 오래된 책은 <산학계몽>이다. 1299년 중국 원나라 수학자 주세걸이 쓴 것인데 연구소에는 1660년 산학계몽 목판본이 있다.

조선시대 최초 서양수학을 다룬 <주서관견>(1705) 필사본, 조선시대 널리 사용된 수학책 <수리정온>(1723), 한국 정부가 처음으로 펴낸 수학교과서 <산술신서>(1900) 등 역사적 가치를 지닌 책들이 많다.

수학책에는 민족의 아픈 역사도 엿볼 수 있다. 미군정청 문교부가 펴낸 <초등 셈본>(1946)을 보면, 단기 4279년 여름에 괴질(콜레라)이 퍼져 그해 10월 28일 기준 전국에 1만5641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그중 1만1118명이 사망했다는 통계가 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초등과 산수>(1944)를 보면 만 13세 이상 14세 미만은 육군소년지원병에 지원할 수 있다. 체격은 키 133㎝, 몸무게 39㎏으로 조선인이 왜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55년 천연색으로 인쇄된 첫 수학교과서 <산수>, 1971년 <표준전과>, 1980년 <정석> 등 한국 현대사를 관통하는 친근한 수학책도 빼곡히 전시돼 있다.

김 소장은 “인류 문명의 발전에 수학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다. 수학의 후퇴는 국가의 후퇴와도 같다”며 “의령에 오면 매일매일 수학의 날이 된다”고 말했다.

김정훈 기자 jh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