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네이버·카카오, 왜 인공지능에 적극적이지 않을까[이경전의 행복한 AI 읽기](20)
이번 글에서는 천기누설을 할 예정이다. 지난 20여 년 이상 지속해왔던 것인데 아직도 잘 모르는 분이 많다. 네이버나 다음, 구글의 검색창에 “꽃배달”을 넣어보자. 네이버와 다음은 공히 “파워링크”라는 제목하에 여러 꽃배달 업체가 나온다. 다음의 경우 오른쪽에는 “스폰서박스”라는 광고가 추가돼 있고, 구글의 경우 “스폰서”라는 이름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여러 꽃배달 업체가 나온다. 여기에 나온 꽃배달 업체를 클릭하면 그 회사 홈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한 번 클릭의 대가로 해당 꽃배달 업체는 얼마 정도를 네이버나 다음, 구글에 지불하게 될까? 아래 문단을 읽기 전에 10초 정도 생각을 해보기 바란다. 당신이 꽃배달업체 사장이라면 얼마를 지불할 것인가?
정답은 대략 한 번의 클릭에 5000원 정도다. 이 가격은 매일 변한다. 꽃배달 업체는 자신이 내고 싶은 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 다만 너무 낮으면 첫 화면에 안 나온다. 높은 가격을 제시한 순서대로 위에 표시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것은 1998년에 미국 회사 고투닷컴(이후 오버추어로 사명 변경. 야후닷컴에 합병)이 출원한 특허에 기반한 키워드 검색광고 비즈니스 모델이다. 1998년 특허이니 벌써 특허기간 20년이 만료돼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나, 포털사이트 사용자 수가 많은 네이버, 다음, 구글이 이것으로 많은 돈을 번다. 2023년 기준, 네이버는 키워드 검색광고로 연간 약 2조7000억원을, 구글은 약 120조원에서 140조원을 벌고 있다.
생성AI 서비스로 돈 벌 모델 아직 못 찾아
‘꽃배달’ 외에 ‘라식’ 같은 키워드도 비싸다. 2007년 5월 28일 필자가 직접 검색한 오버추어(키워드 검색광고) 페이지 화면이 아직도 남아 있다(아래 사진). 1등인 강남아이언스 안과는 클릭당 8830원을 내겠다고 하고 있고, 새빛안과는 10원이 모자란 8820원을 내겠다고 하고 있어서 다섯 번째로 내려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07년에 클릭당 8800원이었으니 지금은 아마도 1만원 이상일 것이다.
‘홈페이지 개발’ 같은 키워드는 얼마일까? 약 10만원으로 알고 있다. 그럼, 제일 비싼 키워드는 얼마일까? 박사과정 학생 중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분이 있어 물어보니 “마약 전문 변호사”라며 클릭당 60만원이라고 한다. 믿어지지 않겠지만, 현실이다. 독자들께서는 괜히 네이버나 다음, 구글에 “마약 전문 변호사”를 검색하고, 나온 법무법인 링크를 절대 누르지 않기를 부탁드린다. 한 번 클릭하면 그 법무법인은 60만원을 포털에 지불하게 된다. 보통 마약 관련 송사를 맡기면 최소 1000만원이라고 한다. 따라서 법무법인들이 이러한 광고를 하게 되는 것이다. 홈페이지 개발도 한 번 맡기면 수백만원, 수천만원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클릭당 10만원 정도의 가격이 10년 이상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검색광고로 큰돈을 벌고 있는 반면,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AI 서비스로는 네이버, 구글, 카카오가 돈을 벌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이들 세 회사는 인공지능에 진심이 아닌 것이다. 이제 다시 네이버, 다음, 구글의 첫 페이지에 접속해보자. 세 회사 모두 자사의 인공지능 서비스를 첫 화면에 안내하고 있지 않다. 네이버의 경우 하이퍼클로버X를 꼭꼭 숨겨두고 있고, 카카오의 다음은 아예 인공지능 서비스 자체가 없으며, 구글 역시 제미나이 서비스를 첫 화면에 보여주고 있지 않다. 세 회사 모두 기존 고객이 자사의 인공지능 서비스를 사용할까봐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이는 너무 당연하다. 네이버의 검색을 써온 사용자를 네이버 하이퍼클로버X로 유도하게 되면, 서비스 비용은 올라가지만 광고 수익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구글도 마찬가지다.
이래서, 한국 사람들은 네이버나 카카오에 인공지능을 기대하면 안 되는 것이다. 미국 사람들은 차라리 낫다. 미국에는 오픈AI의 챗GPT가 나왔고, 앤쓰로픽의 클로드가 나왔고, 퍼플렉시티AI가 나왔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2024년 11월 29일 기사의 헤드라인을 다음과 같이 잡았다. “Googling is for Old People. That’s a Problem for Google.” 구글은 이제 나이 든 사람들이나 쓴다는 것이다. 젊은 사람들은 이제 구글 검색을 떠나 퍼플렉시티나 챗GPT, 클로드를 쓴다는 기사다. 마치 한국에서 케이블TV를 더 이상 젊은 사람들이 보지 않고, 케이블TV는 50대 이상이 주로 보는 매체가 된 현상과 유사하다.
이 추세라면 세 회사 밀려나갈 수밖에
2023년 기준, 20대의 하루평균 TV 시청 시간은 52분으로, 2019년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젊은 세대는 실시간 방송보다는 비실시간 콘텐츠를 선호하며, TV 시청 비중도 10~30대에서는 대부분 2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젊은 세대에서는 유료방송 서비스를 처음부터 이용하지 않는 ‘코드 네버’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케이블TV 가입률이 높다. 50대는 약 60.8%, 60대는 약 66.9%, 70세 이상은 약 71.8%로, 나이가 많을수록 케이블TV 선호도가 증가한다. 한국에서는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종합유선방송(SO) 가입자 수가 줄어드는 추세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전 연령대에서 증가하면서 TV 보유율과 이용시간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진다.
케이블 TV가 스마트폰, 유튜브와 OTT에 밀려나고 있는 것처럼 기존의 검색 서비스도 인공지능 서비스에 의해 밀려나갈 운명이다. 한국에서는 네이버와 다음이 그렇고, 미국에서는 구글이 그렇다. 이렇게 밀려나갈 운명의 회사들에 미래를 물어보아서는 안 된다. 미국에서는 인공지능을 오픈AI나 앤쓰로픽, xAI 등 수많은 스타트업이 주도한다. 반면 한국은 인공지능 관련 사안만 나오면 네이버, 카카오를 들먹인다. 한국의 인공지능도 스타트업이 주도해야 한다. 모든 것이 스타트업에 달렸다.
네이버와 다음을 괜히 구박하자는 것이 아니다. 다음을 합병했던 카카오가 다시 다음을 분리한다고 한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검색광고 부문을 다음으로 떼어낸다면, 카카오는 인공지능 분야에 스타트업처럼 뛰어들 수 있을 것이다. 네이버도 인공지능 사업 부문을 키워드 검색광고 부문의 의사결정에서 자유롭게 할 필요가 있다. 네이버 인공지능 사업을 스타트업의 거버넌스로 재창조하기 전에는 한국의 인공지능을 맡겨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과·빅데이터 응용학과·첨단기술 비즈니스학과 교수
Copyright © 주간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