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생부터 여성이 더 고학력… 첫 취업 점점 늦어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80년대생부터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이 남성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의 '생애 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대생은 남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1980년대생부터는 여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더 높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졸 이상 비율, 남녀 격차 벌어져
일-교육 외면 NEET족 20% 이상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의 ‘생애 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대생은 남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1980년대생부터는 여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더 높았다. 1980∼1984년생의 경우 여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은 72.1%로 남성보다 2.7%포인트 높았고, 1985∼1989년생은 여성이 77.3%로 남성보다 5.1%포인트 앞섰다.
이는 1970∼1994년생 청년 세대를 5년 단위 코호트(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로 나눠 교육 수준 등을 분석한 결과다. 각 세대가 31∼35세일 때를 기준으로 분석한 것이고, 나이가 어린 1990∼1994년생은 26∼30세가 기준이다.
청년 취업 시기도 지연되는 양상을 보였다. 첫 일자리 취업 연령을 코호트별로 추정한 결과 25∼29세를 기준으로 1975∼1979년생은 22.12세였지만 1990∼1994년생은 23.36세로 높아졌다. 일도 하지 않고 교육도 받지 않는 청년 니트(NEET)족의 비중은 모든 세대에서 20세 이후 20% 이상에 달했다.
한편 30대 초반에 자가에 거주하거나 월세를 내고 사는 비율은 늘어난 반면 전세 거주 비율은 낮아졌다. 최근 부동산 폭등기와 맞물려 경제적 여력이 있으면 전세에서 자가로, 여력이 없으면 월세로 옮겨가 양극화가 심해졌다는 분석이다.
세종=김수연 기자 syeo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년전 산불백서에 “헬기 24대 더 필요”…실제론 2대 늘렸다
- [사설]尹 선고 또 한 주 넘긴 헌재… 4·18 前에 하긴 하나
- [사설]트럼프 “모든 수입차에 25% 관세”… 韓, 기업만 뛰게 해선 안 된다
- [사설]산불 때마다 비 오기만 기다려야 하는지
- 韓대행, 의대생에 “정부 믿고 강의실 돌아와달라” 서한
- “도시 싫다고 3주전 귀향하셨는데”…영덕 100세 사망자 유족 오열
- 대피소 찾은 이재명, 성난 이재민에 ‘외투 폭행’ 당해
- 검찰, 이재명 공직선거법 2심 무죄에 상고
- 권성동 “클로즈업하면 사진 조작”…박찬대 “법원 판단 승복하라더니”
- 제2의 티메프 사태?…명품 플랫폼 ‘발란’ 미정산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