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 시대 불상도 화마 속으로…국가유산 피해 총 18건
김동운 2025. 3. 27. 21: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 피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가유산들이 전소되는 등의 사고도 일어나고 있다.
2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으로 확인된 국가유산 피해 사례는 총 18건으로, 전날 오후 집계한 것보다 3건 늘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현장에서 보호 조치를 먼저 시행하고 이후 승인받도록 신속한 조치를 권고하고 있다"며 "무인기(드론)를 활용해 예찰과 피해 현황을 기록 중"이라고 말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 피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가유산들이 전소되는 등의 사고도 일어나고 있다.
27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으로 확인된 국가유산 피해 사례는 총 18건으로, 전날 오후 집계한 것보다 3건 늘었다.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인 용담사 무량전의 부속 건물 1채가 전소됐고, 용담사에 소속된 암자인 금정암 화엄강당도 화마를 피하지 못했다.
8세기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자 통일신라시대 불상을 연구할 때 귀중한 자료로 꼽히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도 전소됐다.
천연기념물 ‘영양 답곡리 만지송’은 현장 조사 결과 나무 밑동과 가지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파악됐다.
산불에 대비해 국가유산청은 사찰이나 종가가 소장해 온 유물 23건(1566점)을 옮긴 상태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현장에서 보호 조치를 먼저 시행하고 이후 승인받도록 신속한 조치를 권고하고 있다”며 “무인기(드론)를 활용해 예찰과 피해 현황을 기록 중”이라고 말했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쿠키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김수현 “하지 않은 일 했다고 할 수 없다” 오열…故 김새론 유족·가세연 고소 [쿠키 현장]
- ‘돌아온 공매도’ 재개 첫날 증시 ‘파란불’…대차잔고 상위 2차전지株↓
- 법사위,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법’ 소위 회부…“반헌법적 vs 공백 방지”
- 헌재 선고 지연에 각계 ‘파면 촉구’…국회, 시국선언문 묶어 제출
- 野 기재위원 “산불 추경안 10조원 시기·규모 한참 부족”
- 한덕수, 이재명 회동 사실상 거절… “현안 우선 대응”
- ‘저성장 한파’ 몰려온다…韓 경제성장률 2.2→1.5% ‘뚝’
- ‘대장동 재판’ 4연속 불출석한 이재명…법원 “강제조치 고민 중”
- 與, ‘내란음모죄’ 이재명·김어준 72명 고발…“국정 협박해”
-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지부 찍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