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유급·제적 시 의사면허 걸고 지킬 것" 서울시의사회 성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와 의과대학이 3월 말까지 의대생들이 학교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유급·제적 처리하겠다고 나서자 서울시의사회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서울시의사회는 "이번 사태의 원인은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료농단 사태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정부와 여당은 아무런 해결책도 내놓지 못한 채 젊은 의사들과 의대생들의 꿈을 짓밟은 것도 모자라 학교에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엄포를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의과대학이 3월 말까지 의대생들이 학교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유급·제적 처리하겠다고 나서자 서울시의사회가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정부가 아무런 해결책도 내놓지 못한 채 학생들에게 엄포만 내놓고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심지어 학생들을 지키기 위해 의사면허까지 걸겠다고 공언했다.
서울특별시의사회(회장 황규석)는 27일 성명서를 통해 "국가적 재난 상황에 제대로 된 정부라면, 국민들의 마음을 달래는 것이 우선"이라며 "대규모 유급·제적 사태가 발생할 경우 의사면허를 걸고 의대생 보호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3월 말까지 의대생들이 학교에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제적 처리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전국 40개 의과대학 가운데 대다수 대학이 이번 주를 '의대생 복귀 마감 시한'으로 정하고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내는 등 실제 조치에 나섰다.
이에 대해 서울시의사회는 "이번 사태의 원인은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료농단 사태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정부와 여당은 아무런 해결책도 내놓지 못한 채 젊은 의사들과 의대생들의 꿈을 짓밟은 것도 모자라 학교에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엄포를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대생들은 앞으로 대한민국 미래세대의 생명을 지켜나갈 소중한 인재로, 대한민국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질 미래의 의료인"이며 "정부는 대화를 통해 이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요구를 함께 논의하고 상의할 수는 없었던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특히 의사회는 "정부와 대학이 무조건 강압과 압박으로 일관하며 학생들을 벼랑 끝으로 몰아세운다면 결국 장기적으로 의료 붕괴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며 "지금도 세계 최고라고 자타가 공인하던 대한민국의 의료 시스템과 의학교육 시스템이 모두 망가졌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의대 학장들에게 "후배들이 의료인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의대생들의 제적을 유보해달라"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의사회는 의대 교수에게 "많은 혼란과 역경 속에 의대생들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이들이 어떤 선택을 하든 옳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도편달해 주시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정부와 의대 학장들에게도 의사회는 "미래의 의료인인 의대생들을 위해 제적 조치를 일단 유보하고 대학별로 다른 제적 시기를 통해 학교에 책임을 떠넘기시는 것을 즉각 중단하는 것은 물론 의료계와 대화를 통해 제적 여부를 결정해 달라"고 제안했다.
또 의사회는 대한의사협회에 대해서도 "의료계의 종주 단체로서, 사상 초유의 의대생 제적 위기를 막기 위해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해 정부와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달라"고 날을 세웠다.
이들은 "의대생들의 학업 복귀 여부에 대해 그 어떠한 결정이든 전적으로 신뢰하고 적극적인 지지를 보내며 의대생 보호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사회는 이번 성명서에서 정부를 향해 △의대와 교육부는 의대생들의 제적을 유보할 것 △대학별로 다른 제적 시기를 통해 의과대학에 책임을 떠넘기시는 것을 즉각 중단할 것 △이번 사태를 초래한 근본적인 의료계의 문제 해결을 위해 의료계와 진솔하고 적극적인 대화에 나설 것 등을 촉구했다.
정심교 기자 simky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내용증명 받은 김새론 "날 피하는 오빠, 5~6년 만났는데"...편지 공개 - 머니투데이
- 김수현, 만 16세 김새론에 "안고 자고 싶다"…"그루밍" 누리꾼 분노 - 머니투데이
- "그냥 죽으라는 거지"…故 김새론, 김수현 측 내용증명에 보인 반응 - 머니투데이
- 이상인 4살 아들, 자폐 형에 주먹질 '화들짝'…오은영은 오열했다 - 머니투데이
- 싼값에 흉가 살다가…정한용 "국회의원 낙마, 사기 피해, 귀신 목격" - 머니투데이
- 자매 덮친 NC야구장 구조물…"언니 사망, 동생은 아직 모른다" - 머니투데이
- 1/3 폭탄 세일해도 "안사요"…'폭싹' 제주 악성 미분양 어마어마 - 머니투데이
- "가슴 좀 그만 만져, 역겨워" 변색된 동상에 분통…'이 도시' 특단 조치 - 머니투데이
- [속보] 군사법원, '비상계엄'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보석 허가 - 머니투데이
- 트럼프 "반도체 관세, 빠른 시일 내 시작"…대미수출 타격 더 커진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