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수 내세워 몸집 불리더니…'발란' 정산 지연 사태 일파만파 [이슈+]
발란, 판매자 정산 지연
판매자들, 상품 판매 중단
티메프·알렛츠 이어 발란까지
온라인 플랫폼 위기 이어지나
국내 온라인 명품 플랫폼 시장 점유율 1위를 달리던 발란이 '정산 지연'을 빚고 있다. 고질적 적자 구조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명품 열풍이 한풀 꺾이면서 신규 투자금 유치에도 난항을 겪었다. 일각에선 티메프(티몬·위메프)와 유사한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단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발란, 정산 지연 사태 '일파만파'
27일 명품업계 등에 따르면 발란은 지난 24일 입점사들 대상으로 “재무 검증 과정에서 과거 거래 및 정산 내용에 확인할 사항이 발생했다”며 정산 지연을 공지했다. 발란 측은 "자체 재무 점검 중 정산금이 과다 지급되는 등의 오류가 발견돼 정산금을 재산정하고 있다"며 "28일까지는 입점사별 확정된 정산액과 지급 일정을 공유하겠다"고 했다.
발란은 입점사별로 일주일, 15일, 한달 등 세 주기로 입점사의 판매대금을 정산하는데 당일 정산 주기가 돌아온 입점사에 대금을 제때 주지 못한 것이다. 발란의 월평균 거래액은 300억원 안팎이며 전체 입점사 수는 1300여개다.
지난해 티몬·위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를 지켜본 발란 입점사들은 정산 지연에 크게 당혹해하는 분위기다. 정산 지연 공지가 발송된 지 하루 뒤인 지난 25일에는 판매자 20∼30명이 발란 사무실을 찾아 거세게 항의해 경찰이 출동하는 상황까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판매자(셀러)들은 발란에서 상품 판매를 중단한 상태다. 발란 측은 직원들의 신변 안전을 우려해 전날부터 전 직원 재택근무로 전환했다.
발란은 팬데믹 기간 국내 명품 온라인 구매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며 주목받았던 업체다. 머스트잇·트렌비와 함께 3사가 국내 명품 플랫폼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공격적 스타 마케팅으로 몸집을 키웠다. 한창 명품 열풍이 거세던 2023년만해도 약 32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발란의 최대주주는 창업자인 최형록 대표(37.86%)다.
김혜수로 광고하며 몸집 불렸지만…
그러나 발란의 성장세는 오래가지 못했다. 톱스타 김혜수를 모델로 기용하면서 거래액을 늘리고 플랫폼 인지도를 높였지만 수백억원의 비용 지출을 감수해야 했다. 게다가 지난해 코로나19가 수그러들고, 해외여행이 재개되면서 명품 열기가 가라앉자 어려움은 가중됐다.
거래액을 늘리는 데만 집중하고, 수익성 개선을 등한시한 것도 결국 발목을 잡았다. 발란은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한 번도 흑자를 내지 못했다. 공시에 따르면 2015년 설립된 발란은 2023년 말 기준 자본총계가 -77억3000만원으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다. 출범 이후 매년 적자가 누적된 탓이다. 발란은 지난 2023년에도 9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매출은 392억원으로 56% 급감했다.
발란의 유동자산은 56억2000만원, 유동부채는 138억1000만원으로 유동비율 40.7%에 불과하다. 1년 새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보다 1년 내 상환해야 할 부채가 2배에 이르는 셈이다. 유동비율이 낮을수록 유동성 위험이 크다고 본다.
코너에 몰린 발란은 투자 유치를 추진해 최근엔 실리콘투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다만 기업가치는 곤두박질쳐 292억원에 불과한 기업가치를 평가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2년 전 기업가치로 평가받았던 금액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실리콘투는 최근 발란에 150억원을 투자했으며, 현재 조건부로 75억원을 우선 투자한 상태다. 나머지는 9개월 뒤인 11월 △직매입 매출 비중 50% 이상 △매월 영업이익 흑자라는 마일스톤을 달성할 시 받는다는 조건이다.
'제2 티메프’ 사태로 이어지나
판매자들은 ‘제2의 티메프’ 사태로 이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과거 티메프도 미정산 사태 초기 ‘시스템 고도화’를 이유로 미정산 사태를 공지했다. 현재 500여명이 넘는 판매자들은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 모임을 결성하고 대응책을 논의 중이다. ‘럭스보이’ 등 일부 입점사는 발란에서 상품을 내렸으며, 또 다른 판매자들은 추가 거래를 막기 위해 상품을 품절 처리했다. 이들은 현재 고소장 접수뿐 아니라 본사 방문 등 방식으로 집단 행동을 준비 중이다.
발란에 2억7000만원어치 미정산금이 남아 있다는 한 판매자는 “발란이 회생 절차에 들어갔다는 소문이 있어 물건 값을 떼일까봐 판매자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며 “명품 병행수입 시장도 대부분 소규모 업자들이 많아 정산을 받지 못할 경우 도산하는 이들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발란은 2023년에도 납품 지연 문제를 일으켜 수억원대 피해를 낳은 바 있다. 당시 국내 바이어에게 선급금을 받고도 물품 제공을 미룬 것이 논란이 됐다.
업계에선 명품 플랫폼 시장 전반이 침체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경쟁업체인 머스트잇과 트렌비도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추가 투자 유치 없이는 자생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머스트잇, 트렌비, 발란 등 국내 주요 명품 플랫폼의 누적 카드 결제 금액은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 3758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9245억원) 대비 59% 급감한 수치다. 지난 2023년 기준 영업손실은 머스트잇 79억원, 트렌비 32억원에 이른다.
최근 1년 새 문을 닫은 명품 플랫폼도 무려 4곳에 달한다. 지난해 3월 캐치패션이 신규 투자금 유치에 실패해 문을 닫았고, 1세대 명품 편집숍 한스타일도 비상경영에 돌입해 버터 왔지만 결국 8월 사업을 종료했다. 12월에는 이랜드글로벌이 운영하던 명품 플랫폼 ‘럭셔리 갤러리’가 운영을 중단했고 올해 초에도 명품 프리 오더(선주문) 플랫폼 ‘디코드’가 사업을 접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주요 명품 플랫폼들이 있따라 문을 닫는 마당에 국내 명품 플랫폼이 상황이 좋겠느냐”며 “명품 열기가 확 식어 샤넬·구찌 등 주요 브랜드들도 고전할 정도인 데다가 소비 침체 등 전반적으로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다”고 말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덕에 돈벼락 맞았다…하루 만에 주가 20% 뛴 종목
- 日 대마도 신사, 결국 '한국인은 출입 금지'…"나라 망신"
- "샤넬백 살 돈 없어요"…백화점 명품관 썰렁하더니 '충격 결과'
- '8세부터 15세 이하 여아만'…논란의 오디션, 결국 "방송 취소"
- "중독성 있는 맛집" 알고보니…진짜 '마약' 넣은 식당에 발칵
- "너무 비싸고 먹을 아이도 없어요"…서울우유, 결국 '중대 결단'
- 양세형, 홍대 109억 건물도 '공실'?…직접 가보니 [집코노미-핫!부동산]
- "첫사랑이자 마지막 사랑"…김수현에 전하려던 김새론 손편지
- 한국 어쩌나…"일자리 수만개 사라질 수도" 무서운 경고
- 한국에선 가격 올려도 다 팔린다더니…샤넬백 '초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