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등록 후 휴학' 의대생에 "공부 의지 없다면 자리 비워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27일 '등록 후 휴학'을 통해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의대생을 겨냥해 "공부할 의지가 없다면, 정부와 학교는 진짜 공부하려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줘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원 전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다른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자리를 비울 사람은 비우는 게 맞는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27일 '등록 후 휴학'을 통해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의대생을 겨냥해 "공부할 의지가 없다면, 정부와 학교는 진짜 공부하려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줘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원 전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다른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자리를 비울 사람은 비우는 게 맞는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제적 대신 유급으로 계속 드러눕겠다는 자에게 진료 받고 싶은 국민은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연세대 의대에 이어 서울대 의대 학생들도 등록 마감일인 이날 일제히 1학기 등록을 하기로 결정을 내렸습니다.
미등록으로 인한 제적 처리를 피하고 '등록 후 휴학 또는 수업 거부'로 투쟁 방식을 선회한 것입니다.
다만 전체 의대생 단체는 '미등록 투쟁'을 이어간다는 입장입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이날 서울대와 연세대를 제외한 38개 의대 대표 명의 입장문을 통해 "투쟁이 끝난 것이 아니다"라며 "서울대와 연세대 일부의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원 전 장관은 최근 페이스북에 연이어 의료계를 비판하는 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지난 19일에는 "환자 목숨을 틀어쥐고 선동과 협박을 하는 자들에게는 의사 되지 않을 자유를 주고 각자 새로운 인생을 살 기회를 줘야 한다"며 "그들의 빈자리는 다른 의료 직역에 있는 분들이 채우면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20일에는 의료계의 개혁 반대 이유에 대해 "비필수 분야에 대한 규제가 '자격증 한 번 따면 평생 별 위험 없이 돈 많이 벌 수 있다'는 의대 신화를 깨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의료적 위험성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가 아닌 단순 관리 영역은 타 의료직군이나 피부관리사 등 비의료인들에게 문호 확대를 검토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Copyright © CJB청주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