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면허 걸겠다"…의대생 제적 막아 나선 서울시의사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의사회가 의대생 보호를 위해 "면허를 걸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정부와 의과대학이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학칙대로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발표에 따른 대응이다.
앞서 정부는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이 학교에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제적 처리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복귀 의대생에 제적예정통보서 발송
서울시의사회가 의대생 보호를 위해 "면허를 걸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정부와 의과대학이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학칙대로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발표에 따른 대응이다.
서울특별시의사회는 지난 26일 성명서를 통해 "국가적 재난 상황에 제대로 된 정부라면, 국민들의 마음을 달래는 것이 우선"이라며 "대규모 유급·제적 사태가 발생할 경우 의사면허를 걸고 의대생 보호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이 학교에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제적 처리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전국 40개 의과대학 가운데 대다수 대학이 이번 주를 '의대생 복귀 마감 시한'으로 정하고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냈다.
이들은 "이번 사태의 원인은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료농단 사태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정부와 여당은 아무런 해결책도 내놓지 못한 채 젊은 의사들과 의대생들의 꿈을 짓밟은 것도 모자라 학교에 복귀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엄포를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와 대학이 무조건 강압과 압박으로 일관하며 학생들을 벼랑 끝으로 몰아세운다면 결국 장기적으로 의료 붕괴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며 "의대 교수들은 의대생들이 어떤 선택을 하든 옳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도 편달해 주시길 바란다"고 주장했다.
대한의사협회를 향해선 "의료계의 종주 단체로서, 사상 초유 의대생의 제적 위기를 막기 위해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해 정부와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달라"고 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사 접을 수도 없고 어쩌나"…'백종원 식당' 사장님들 한숨 [이슈+]
- '트럼프 극찬했는데 주가는 왜 이러나'…개미들 '당황' [종목+]
- "15억 마포는 놔두고 왜 11억 우리집만"…용산 집주인 '분통' [돈앤톡]
- 열쇠 400만원, 첼로 1500만원…국회의원 이색 자산 '대공개'
- "제2의 월급이 따박따박"…은퇴한 부모님 비결 알고 보니
- "너무 비싸고 먹을 아이도 없어요"…서울우유, 결국 '중대 결단'
- 다이소 점주의 분노…"1000원짜리 판다고 직원 무시하나"
- "딸 돈까지 넣었는데 어쩌나"…상폐위기 금양에 주주들 곡소리 [종목+]
- 故 김수미 떠난 후 절친 김혜자가 문자 보냈더니…답장온 사연
- "앞으로 6600억 물어줘야"…개미도 기관도 '청천벽력' 소식 [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