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깎아줄 수 도 있다" 트럼프, 中 정부와 틱톡 매각 협상 가능성 시사

홍창기 2025. 3. 27. 10: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 매각을 위해 중국 정부와 협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중국 바이트댄스가 모회사인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강제 매각과 관련, 중국 정부가 모종의 역할을 해주면 대중국 관세를 깎아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틱톡 매각은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의 기존 미국 투자자들이 틱톡의 미국 사업을 인수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6일(현지시간) 車 관세 부과안 서명 후 틱톡 매각 언급
트럼프 "중국 정부가 역할 해야 한다"
"틱톡은 규모가 크지만 관세는 그보다 훨씬 더 비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 매각을 위해 중국 정부와 관세 협상을 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미지='챗GPT이미지' 생성

【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 매각을 위해 중국 정부와 협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중국 바이트댄스가 모회사인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강제 매각과 관련, 중국 정부가 모종의 역할을 해주면 대중국 관세를 깎아줄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차에 대해 25% 관세 부과하는 안에 서명을 한 뒤 틱톡 매각과 관련한 언급을 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매각과 관련 미국 기업이 틱톡의 지분 50%를 보유하기를 원하고 있다.

그는 "틱톡 매각과 관련 중국 정부가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면서 "관세를 조금 낮추거나 다른 방법으로 (틱톡 매각) 협상을 마무리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은 규모가 크지만 관세는 틱톡보다 훨씬 더 비싸다"고 덧붙였다.

미국 연방 의회는 틱톡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인의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는 등 국가안보를 위협할 우려가 있다며 지난해 4월 이른바 '틱톡금지법'을 제정했다. 이 법안은 틱톡의 미국내 사업권을 기한 안에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사업을 금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에 서명했고 이 법안은 발효됐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 직 후 행정명령을 통해 틱톡금지법 시행을 4월 5일까지 늦췄다. 이에 따라 현재 틱톡은 미국에서 정상적으로 운영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정부의 역할론과 더불어 틱톡 매각 시한을 다시 연장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는 "우리는 거래를 할 것이다"면서 "하지만 거래가 완료되지 않았더라도 큰 문제는 아니다"고 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매각 시한을 연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1월 19일(현지시간) '틱톡 금지법' 시행을 앞두고 “죄송합니다. 현재 틱톡을 사용할 수 없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와 관련, 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틱톡 매각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스스로 생각하는 시기에 맞춰 틱톡과 거래를 하려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J.D. 밴스 부통령도 이달 초 4월까지 틱톡 매각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밴스 부통령은 "미국 국가 안보 문제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미국 기업이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인수하는 일이 거의 확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틱톡 매각은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의 기존 미국 투자자들이 틱톡의 미국 사업을 인수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틱톡의 미국 법인을 분사하고 바이트댄스의 기존 미국 투자자들이 분사한 틱톡 미국 법인에 대한 지분을 높이는 대신 중국의 지분은 미국 법이 요구하는 20% 이하로 낮추는 방안이다. 바이트댄스 이사회 멤버인 에프 야스의 서스쿼해나인터내셜그룹과 빌 포드의 제너럴 애틀랜틱이 이 계획에 대해 백악관과 논의를 주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theveryfirst@fnnews.com 홍창기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