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일동 땅꺼짐 현장 지반, 원래 약했다…보강해가며 9호선 공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강동구 명일동 땅 꺼짐(싱크홀) 현장 지반이 원래 연약했다는 사실이 파악됐다.
김 의원이 현장에서 서울시 관계자로부터 보고 받은 내용에 따르면, 동남로 대명초입구교차로에서 생태공원교차로 쪽으로 지하철 9호선 4단계 1공구 터널공사가 80m 정도 굴진(굴 모양을 이루면서 땅을 파 들어감)하고 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보고…지질상태 단단하지 않아 보강 후 굴진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서울 강동구 명일동 땅 꺼짐(싱크홀) 현장 지반이 원래 연약했다는 사실이 파악됐다. 이에 따라 9호선 터널 공사 역시 지반 보강을 병행하며 이뤄지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강동1)은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입구 교차로 부근에서 발생한 대형 땅꺼짐 사고 현장을 지난 24일과 25일 방문해 서울시로부터 현황을 보고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김 의원이 현장에서 서울시 관계자로부터 보고 받은 내용에 따르면, 동남로 대명초입구교차로에서 생태공원교차로 쪽으로 지하철 9호선 4단계 1공구 터널공사가 80m 정도 굴진(굴 모양을 이루면서 땅을 파 들어감)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질 상태가 단단하지 않아 특수 그라우팅 공법(연약한 지반을 보강하거나 지반과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해 시멘트, 모르타르, 약제 등을 주입)으로 보강 후 굴진하고 있었다고 김 의원은 밝혔다.
김 의원은 "대규모 땅 꺼짐 사고가 발생한 물리적인 이유는 다량의 물이 토사와 함께 이동해 공동을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며 "상수관이 터진 원인과 터널공사의 연관성 등은 전문가들의 상세한 조사 및 분석 후에 결과가 도출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현재 지하 공동 검사 방식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2024년 8월 서대문구 연희동 도로에서 땅꺼짐 사고가 발생해 차량이 추락했을 때 인근에 빗물펌프장 굴착공사가 진행되고 있었고 이번 강동구 대형 땅꺼짐 사고도 지하굴착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 한 번의 전수조사로는 앞으로 있을 땅 꺼짐 사고를 완전히 예방할 수 없다"고 짚었다.
그는 "2024년 연희동 땅꺼짐 사고 직후에도 서울시가 지반침하 사전 예방을 위한 개선안을 발표하고 시행을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부족한 대책이었다"라며 "시민들이 운전 중 도로에서 갑작스러운 추락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지하철 9호선 4단계 공사 등 대형 굴착공사장에 대한 주기적인 전수조사를 즉시 시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aero@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상진♥' 김소영 "MBC 퇴직금 3000만원으로 사업 시작"
- 전한길, '폭싹' 특별출연 촬영 통편집 "수준 높은 작품 위해"
- '박성광 아내' 이솔이, 암투병 고백 "아이 못 가져"
- "2018년엔 연인 아니었다"…김수현, 조목조목 반박
- 김수현 측 "故설리, 영화 '리얼' 베드신 사전숙지…강요 아냐"(종합)
- "제왕절개 수술하며 '자궁근종' 발견" 윤진이 둘째 딸이 효녀
- 테이, 장제원 사망에 "안타깝다" 한마디 했다가…(종합)
- '韓서 손절' 버닝썬 승리, 中서 사업 모색?
- '송지은♥' 박위, 두 발로 서서 찍은 웨딩화보 '뭉클'
- 노엘, 父장제원 비보 후 심경 "무너지거나 할 일 없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