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이상 지방간질환 방치하면 심혈관질환 위험도 57%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지속되면 질병이 계속 없는 사람보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가 57%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지속되거나 새로 발생하면 질병이 계속 없는 사람보다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도가 각각 57%, 28% 높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많이 가질수록 실제 발생 위험 2배까지 높아져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지속되면 질병이 계속 없는 사람보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가 57%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승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호규 · 이혁희 교수, 중앙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이한아 교수 연구팀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지속되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57% 올라간다고 27일에 밝혔다.
연구팀은 2009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약 730만명을 12년간 추적 관찰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유무, 심혈관 위험인자 보유 개수 및 이들 변화에 따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를 파악했다.
조사한 심혈관 위험인자는 ▲과체중(체질량지수 23kg/㎡ 이상) 또는 복부비만(허리둘레 남성 90cm 이상, 여성 80cm 이상) ▲높은 혈압(130/85㎜Hg 이상 또는 치료 중) ▲높은 혈당 수치(100mg/dL 이상 또는 치료 중) ▲낮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남성 40mg/dL 미만, 여성 50mg/dL 미만 또는 치료 중) ▲높은 중성지방 수치(150mg/dL 이상 또는 치료 중) 5가지로, 지방간 환자가 이들 위험인자 중 1가지 이상을 보유하고 있을 때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으로 분류했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지속되거나 새로 발생하면 질병이 계속 없는 사람보다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도가 각각 57%, 28% 높았다. 반대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개선되면 질병이 지속되는 경우에 비해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16% 감소했다.
또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환자가 보유하고 있는 심혈관 위험인자가 5개인 경우 1개일 때보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2배 높았다. 위험인자 5개를 계속 유지하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2.6배까지 높아졌다.
김승업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유무와 심혈관 위험인자의 변화가 심혈관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수를 정량적으로, 또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을 예측하고 맞춤형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소화기학회지(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에 게재됐다.
이순용 (sylee@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칼 빼든 트럼프 “25% 車관세 영구적…상호관세는 관대”(종합)
- 나사 위성에 포착된 한국 산불…해안까지 번진 자욱한 연기
- [속보]중대본 “산불 사망 26명…중상 8명·경상 22명”
- 故 김새론 유족, 오늘(27일) 기자회견…"김수현과 미성년 교제 증거 공개"
- 이런데 뚫고 탈출한 영양 주민들, "죽는구나 싶었다" [영상]
- "건강은 물론 패션에도 돈 안 아껴요"…'큰손'된 5060
- [단독]“주거용이라더니…” 강동아이파크더리버 '집단소송'
- 와이파이 껐다고 동시에 母에 달려든 ‘세 자매’…흉기 휘둘러
- "너무 어렵다" 리디아 고를 깜짝 놀라게 한 ‘오거스타’는
- 김대호 "MBC 퇴사 후 출연료 150배 올라…계약금 놀랐다" (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