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이 커졌나? 벌이에 비해 씀씀이 커진 한국인들

임정환 기자 2025. 3. 27. 05: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10년간 국민들의 '벌이'는 18% 늘어났지만 '씀씀이'는 40% 넘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5일 통계청이 내놓은 '2024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6624달러(약 4996만 원)로 나타났다.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2014년 1649만4000원에서 지난해 2387만 원으로 44.7%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2024 한국의 사회지표’
‘보수와 진보 갈등’ 가장 심각
롯데마트

최근 10년간 국민들의 ‘벌이’는 18% 늘어났지만 ‘씀씀이’는 40% 넘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5일 통계청이 내놓은 ‘2024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6624달러(약 4996만 원)로 나타났다. 10년째 3만 달러 선으로 10년간 1인당 GNI 증가율은 18.9%에 그쳤다.

GNI가 정체되는 동안 씀씀이는 크게 늘었다.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2014년 1649만4000원에서 지난해 2387만 원으로 44.7%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를 거치며 월평균 소비지출액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975만2000원에서 2023년 2315만8000원으로 단숨에 17.2% 증가했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89만 원으로, 전년(279.2만 원)보다 9만 8000원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40대 가구가 월 377만 6000원으로 가장 많이 소비했고 △50대(344만 9000원) △39세 이하(282만 7000원) △60세 이상(212만 5000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소비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1인당 소비지출은 늘었지만,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민간소비지출 비율은 낮아졌다. GDP 대비 민간소비지출 비율은 48.5%로, 전년(49.9%) 대비 1.4%포인트 낮아졌다. 2000년대 초반 하더라도 GDP 대비 민간소비지출은 50%대 중반이었지만, 점차 떨어지더니 2015년엔 49.8%로 처음 50%를 밑돌았다. GDP에는 민간소비지출 외에 정부지출과 투자, 무역수지 등이 포함된다.

같은 조사에서 국민들이 느끼는 ‘한국 사회의 가장 큰 갈등 요소’는 이념대립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의 갈등 정도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약간 심하다’ 또는 ‘매우 심하다’라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을 항목별로 보면 ‘보수와 진보’가 77.5%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빈곤층과 중상층’(74.8%), ‘근로자와 고용주’(66.4%), ‘개발과 환경보존’(61.9%) 순이었다.

갈등 인식률이 가장 낮은 항목은 ‘남자와 여자’(51.7%)였고, 이어 ‘종교 간’(51.8%), ‘노인층과 젊은 층’(58.3%) 순으로 낮았다.

국민들의 국가기관에 대한 신뢰도는 전반적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국민이 신뢰하는 국가기관 1위는 지방자치단체(55.3%)였고, 군대(51.3%), 경찰(50.8%), 법원(46.1%) 순이었다. 이들 기관은 모두 1년 전보다 신뢰도가 하락했다. 유일하게 신뢰도가 오른 기관은 국회로, 2023년 24.7%에서 지난해 26.0%로 1.3%포인트 상승했다.

임정환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