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생들 복귀 찬반투표… 단일대오 흔들리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대 의대생들이 학교 측이 설정한 복귀 시한을 하루 앞두고 '휴학 여부 투표'를 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투표 결과는 '제적 위기'와 '집단행동' 사이에서 갈등하는 전국 의대생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6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대 의대생들은 이날 밤 등록 및 휴학 의사를 묻기 위한 학생 투표를 진행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대에선 “자율선택 존중하라” 성명
의협은 복귀 시한 연장 요청 등 검토
서울대 의대생들이 학교 측이 설정한 복귀 시한을 하루 앞두고 ‘휴학 여부 투표’를 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투표 결과는 ‘제적 위기’와 ‘집단행동’ 사이에서 갈등하는 전국 의대생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 의대에서는 복귀 데드라인이 지난 이후 제적 절차가 진행되자 복학 문의가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를 포함해 의대 내부적으로 ‘개인의 자율 선택을 존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투쟁 방식에도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6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대 의대생들은 이날 밤 등록 및 휴학 의사를 묻기 위한 학생 투표를 진행했다. 투표 결과는 의과대학 학생단체인 대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에도 공유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 의대는 27일 오후 5시를 복귀 시한으로 설정한 상태다. 데드라인을 코앞에 둔 만큼 투표 결과는 복귀율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서울대 의대생들은 지난 1월에도 복학 여부에 대해 비공개 투표를 진행했었다.
당시 의대협이 ‘휴학계 제출로 투쟁을 이어간다’는 방침을 공유했음에도 복학 찬성 의견은 지난해 17%보다 높아진 23%였다. 서울대 교수회는 이날 공개 서한을 내고 “(의대생의) 복귀 문제는 우리 의료의 미래와 직결된 중요한 사안”이라며 “부디 돌아와달라”고 호소했다.
서울대를 포함해 상당수 의대들은 ‘미복귀자 제적’ 방침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대한의사협회(의협)를 포함한 의사 단체나 전공의 대표들은 별다른 해법을 내지 못하고 있다. 선배 격인 전공의·의사 단체들이 정부와 대학을 상대로 협상 주도권을 쥐지 못하면서 의대생들이 각자도생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25일 고려대 의대에서 학생대표를 지낸 5명이 성명을 낸 것도 의대생들의 내부 갈등과 압박감을 보여준다. 이들은 “리스트 작성 및 공유, 무분별한 마녀사냥, 서로에 대한 비난과 감시 등이 이어지는 동안 학우 여러분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 게 사실”이라며 “책임은 오롯이 개인 몫이었으나 선택은 온전한 자유의지로 내릴 수 없는 분위기였다”고 밝혔다. 고려대는 최종 제적 처분을 앞두고 복학 등 관련 상담을 원하는 의대생이 200명을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학생들 사이에선 일단 학교를 등록한 뒤 휴학하는 방안도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달리 의대생들의 개별 움직임은 단일대오를 약화하고 협상력 약화로 이어진다며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의협은 이날 상임이사회를 열고 정부·대학에 복귀 시한 연장을 요청하는 방안 등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학생 당사자들의 의견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학생들에게 더 고민할 시간을 줄 필요가 있다는 취지”라면서도 “(의협 차원의 미복귀 의대생 보호 방안 추진은) 의대생 단체의 요청이 있어야 한다”는 전제를 걸었다.
박상은 이정헌 이찬희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검찰, 이재명 2심 무죄에 “상고해 대법원서 위법 시정”
- 李, 재판부에 90도 인사… 법정 밖 60여명 민주 의원들 환호
- 매캐한 불냄새, 희뿌연 연기… 전쟁터와 다름없는 영덕
- [단독] 6개월 희망고문 신입공채 인턴, 합격자는 ‘0’
- 이재명, 선거법 2심서 전부 무죄… “허위사실 공표 아냐”
- “신장·간 떼어 두 생명 살린 기증자를 도와주세요”
- 서울의대도 “27일 이후론 돌이킬 수 없다” 통첩
- 아동 상품화 논란 ‘언더피프틴’… “대중 감수성 간과”
- 16년째 재개발 제자리 흉물 빈집 어찌하리요
- 지난해 한국서 1조8000억 벌어들인 샤넬…기부는 ‘19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