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구제급여 지급 대상자 55명 추가
김태구 2025. 3. 26. 14: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 구조급여 대상자에 51명이 추가됐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총 89명에 대한 심의를 통해 51명에 대한 구제급여 지급 및 피해등급 결정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위원회는 신규로 피해가 인정된 33명의 구제급여 지급 결정과 함께, 피해를 인정받았으나 피해등급을 결정받지 못했던 피해자 등 18명의 피해등급 등을 결정했다.
환경부는 이번 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구제급여 지급 등 피해자 구제를 차질 없이 진행할 예정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44차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
총 5861명(누계) 인정 1852억원 지원
쿠키뉴스DB
가습기살균제 피해 구조급여 대상자에 51명이 추가됐다.
환경부는 26일 오전 한강홍수통제소 회의실에서 ‘제44차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위원장 이병화 환경부 차관)’를 개최했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총 89명에 대한 심의를 통해 51명에 대한 구제급여 지급 및 피해등급 결정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위원회는 신규로 피해가 인정된 33명의 구제급여 지급 결정과 함께, 피해를 인정받았으나 피해등급을 결정받지 못했던 피해자 등 18명의 피해등급 등을 결정했다. 구제급여 지급 및 피해등급 결정을 받은 피해자에는 폐암 피해자 11명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가습기살균제 구제급여 지급 대상자는 총 5861명(누계)로 늘었다. 지원액은 1852억원이다.
가습기살균제 피해는 1994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에서 판매된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소비자들이 심각한 건강 피해를 입은 사건이다. 주요 원인 물질로는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산염(PGH),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MIT) 등이 다. 이 성분들은 인체에 유해하여 폐 손상, 천식, 기관지염, 폐섬유화 등의 심각한 질환을 유발헸다.
환경부는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를 돕기하기 위해 상담센터와 함께 피해구제 포털(www.healthrelief.or.kr)을 운영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구제급여 지급 등 피해자 구제를 차질 없이 진행할 예정이다.
세종=김태구 기자
김태구 기자 ktae9@kukinews.com
총 5861명(누계) 인정 1852억원 지원
가습기살균제 피해 구조급여 대상자에 51명이 추가됐다.
환경부는 26일 오전 한강홍수통제소 회의실에서 ‘제44차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위원회(위원장 이병화 환경부 차관)’를 개최했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총 89명에 대한 심의를 통해 51명에 대한 구제급여 지급 및 피해등급 결정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위원회는 신규로 피해가 인정된 33명의 구제급여 지급 결정과 함께, 피해를 인정받았으나 피해등급을 결정받지 못했던 피해자 등 18명의 피해등급 등을 결정했다. 구제급여 지급 및 피해등급 결정을 받은 피해자에는 폐암 피해자 11명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가습기살균제 구제급여 지급 대상자는 총 5861명(누계)로 늘었다. 지원액은 1852억원이다.
가습기살균제 피해는 1994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에서 판매된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소비자들이 심각한 건강 피해를 입은 사건이다. 주요 원인 물질로는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산염(PGH),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MIT) 등이 다. 이 성분들은 인체에 유해하여 폐 손상, 천식, 기관지염, 폐섬유화 등의 심각한 질환을 유발헸다.
환경부는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를 돕기하기 위해 상담센터와 함께 피해구제 포털(www.healthrelief.or.kr)을 운영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구제급여 지급 등 피해자 구제를 차질 없이 진행할 예정이다.
세종=김태구 기자
김태구 기자 ktae9@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쿠키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헌재 평결 마쳤다…尹 탄핵 결론 사실상 확정
- 의대생 97% 복귀…“교육과정 시작하고 모집인원도 논의”
- 홈플러스 “등급 하락 인지시점 기존과 같아, 조사 성실히 응할 것”
- ‘주문이냐 이유냐’…4일 탄핵선고 초반에 힌트 나온다
- 탄핵 선고일 확정에…탄핵 찬성단체들 “만장일치 탄핵 파면해야”
- 민주, 尹 선고기일 지정에 “만시지탄…상식 무너지는 일 더는 없어야”
- ‘73.7% 우승 확률 잡았다’ 현대캐피탈, 대한항공 꺾고 챔프 1차전 승 [쿠키 현장]
- 산불에 주민 업고 뛴 외국인…법무부 “장기거주 허가 검토”
- 韓 감자‧소고기 무역장벽 지적한 美…협상 요청은 아직
- 與, 3일 산불 지원 대책 논의…尹선고로 앞당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