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싹 줄었수다" OTT에 밀린 IPTV·케이블 '0%' 성장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IPTV·케이블TV 등 유료방송 사업자가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에 밀려 2023년 0%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통위는 "해외 OTT의 제작수요는 증가한 반면, 방송광고시장 위축 및 제작단가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 등으로 국내 OTT 사업자와 방송사업자의 제작 수요는 감소했다"며 "특정 사업자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미디어 생태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통계 확보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PTV·케이블TV 등 유료방송 사업자가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에 밀려 2023년 0%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OTT 영향력 확대로 국내 방송영상콘텐츠 제작 수요는 위축되고 방송광고 시장도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26일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의 '2024년도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유료방송시장 △방송채널거래시장 △방송영상콘텐츠 거래시장 △방송광고시장 등 4개 부문으로 진행됐다.
유료방송사업자는 가입자수와 매출 증가율이 크게 둔화했다. 2023년도 가입자 수는 3629만 단자, 방송사업 매출액은 7조2328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0.01%, 0.4% 증가하는데 그쳤다. 유료방송 시장이 포화된 가운데 OTT와의 경쟁이 격화한 탓이다. 이 가운데 KT·LG유플러스·SK브로드밴드 등 IPTV 상위 3사는 유료방송 전체 가입자의 86.8%, 매출액의 91.4%를 차지하며 과점체계를 강화했다.
방통위는 "해외 OTT의 제작수요는 증가한 반면, 방송광고시장 위축 및 제작단가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 등으로 국내 OTT 사업자와 방송사업자의 제작 수요는 감소했다"며 "특정 사업자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미디어 생태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통계 확보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방송광고시장은 전년 대비 18.5% 감소한 2조3574억원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과거엔 방송광고 인기가 높았으나 최근엔 OTT 광고 선호 현상도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방통위는 OTT 등으로 시청행태가 변하고 있고 디지털 광고기술이 진화하면서 광고 시장에서 방송광고 비중은 계속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이번 평가는 2023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공표집과 회계보고서, 방송산업 실태조사보고서 등 미디어 시장 관련 자료를 활용하고 2024년 이용자·제작사·광고주 등의 설문조사를 거쳐 진행했다.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故김수미, 김혜자에 "천국 도착했다" 문자…서효림 펑펑 운 사연 - 머니투데이
- 임영웅 세금 체납…'51억' 펜트하우스 압류까지 당했었다 - 머니투데이
- "미친 것 같다"…'김새론 낙태설' 유튜버 이번엔 '모녀 갈등' 주장 - 머니투데이
- 가수 박기영, 두 번째 이혼…무용수와 재혼 6년만 - 머니투데이
- 박은혜 "이미 나는 치매, 인지기능 저하"…충격 고백, 무슨 일? - 머니투데이
- "악어의 눈물" "연기상"…김수현 기자회견에 해외 반응 '싸늘' - 머니투데이
- "아내 불륜남, 유명 아이돌 작곡가…작업실서 성관계까지" 충격 - 머니투데이
- "신랑 전부인과 영상통화?"…최여진, 논란의 예비신랑 공개 - 머니투데이
- "야외에서, 스릴있지?"…독특한 성적취향의 아내, 이혼 고민중인 남편 - 머니투데이
- 강병규, 톱배우 실명까지 거론…"마카오서 '쌍욕' 도박, 여자도 불렀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