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직장 맞네" 평균 연봉 1억 '훌쩍'…네이버 vs 카카오 비교해 보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빅테크 양대 강자로 꼽히는 네이버(NAVER)와 카카오의 직원 평균 연봉이 모두 1억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25일 두 회사의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네이버 직원들의 평균 연봉은 1억2900만원(스톡옵션 포함)을 기록했다.
카카오의 경우 직원들의 평균 연봉은 1억200만원으로, 네이버보다 2000만원 이상 적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빅테크 양대 강자로 꼽히는 네이버(NAVER)와 카카오의 직원 평균 연봉이 모두 1억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구직자들의 인기 0순위, '워너비 직장'으로 꼽히는 두 회사를 비교해봤다. 그 결과 네이버가 근속연수와 연봉에서 카카오를 근소한 차이로 앞섰다.
25일 두 회사의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네이버 직원들의 평균 연봉은 1억2900만원(스톡옵션 포함)을 기록했다. 성별로 따져보면 남직원은 1억4100만원, 여직원은 1억1300만원으로 집계됐다. 2800만원 차이다.
카카오의 경우 직원들의 평균 연봉은 1억200만원으로, 네이버보다 2000만원 이상 적었다. 남직원의 경우 1억1400만원으로 1억원을 넘었지만, 여직원은 8600만원을 기록했다. 성별 연봉 차이는 네이버와 똑같은 2800만원이었다.
회사 측은 남직원의 연봉이 더 높은 이유로, 고연봉직인 개발자 중 남성의 비중이 높다는 이유를 꼽았다. 두 회사 모두 빅테크 기업으로, 연구개발에 회사의 성장 여부가 달려 있다.
카카오의 경우 기간제 근로자(163명)를 포함한 전체 직원 수가 4028명이었다. 정규직 3865명 중 남직원이 2263명으로 여직원(1602명)보다 1.4배 많았다. 전체 직원 수는 네이버보다 적지만, 남녀 성비는 비슷했다. 기간제 근로자 163명 중 여직원이 151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도 네이버와 비슷했다.
지난해 카카오의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총 146명으로, 육아휴직 대상 인원(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 자녀가 있는 근로자)의 50%에 달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가 50명으로, 전체 대상 인원의 37.6%에 그쳤다.
다만 두 회사 모두 성별에 따라 육아휴직 사용 비율이 크게 달랐고, 대부분 여성 비율이 높았다. 네이버의 경우 남직원의 육아휴직 사용 비율은 8.7%로, 여직원(82.7%)에 비해 훨씬 낮았고, 카카오 역시 네이버보다는 높았지만 남직원의 사용률이 12.3%로, 여직원(84.3%)보다 적었다.
김소연 기자 nicksy@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전 부인과 한집살이…최여진 결혼 논란에 "내가 증인" 지인 나섰다 - 머니투데이
- 김새론 전 남친까지 등장…"가족 무관심에 힘들어해, 김수현 탓 아냐" - 머니투데이
- 백종원 내걸고 줄줄이 폐점…이 정도일 줄이야 - 머니투데이
- 예비 시모 "넌 돈 없고, 네 부모는 기품 없어"…전문가도 말린 결혼 - 머니투데이
- '송종국 딸' 송지아, 어려운 형편 언급…"엄마 보험도 깼다고 울어" - 머니투데이
- [TheTax] 집 살때 엄마가 준 2억원…"그냥 빌렸다고하면 안 되나요?" - 머니투데이
- 강남 아파트서 흉기로 아내 살해…60대 남성 현행범 체포 - 머니투데이
- "싼 맛에 가입했는데 제 번호 없어지나요?" 소비자 '발 동동' - 머니투데이
- 3살에 입양된 김재중, 양엄마와 첫만남에…"나 버리지마" 뭉클 - 머니투데이
- "자식한테 맞았다" 80대 아버지 신고…30대 아들은 또 주먹질했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