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위공무원 징계에 수사자료 활용 강화…기관장이 자료 요청도 가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앞으로 공무원이 비위 혐의로 조사나 수사를 받으면, 소속기관장이 해당 공무원을 징계하기 위해 그 자료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부정행위를 한 공무원의 징계 사유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수사기관 등에서 작성한 자료가 필요합니다.
인사처는 이번 법 개정으로 행정기관장이 소속 공무원의 비위와 관련된 조사자료(감사보고서·문답서·확인서 등)와 수사기관의 수사자료(신문조서·진술조서·공소장 등)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공무원이 비위 혐의로 조사나 수사를 받으면, 소속기관장이 해당 공무원을 징계하기 위해 그 자료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인사혁신처는 오늘(25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공무원 징계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밝혔습니다.
부정행위를 한 공무원의 징계 사유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수사기관 등에서 작성한 자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기존에는 관련 규정이 불명확해 비위 사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징계를 내리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인사처는 이번 법 개정으로 행정기관장이 소속 공무원의 비위와 관련된 조사자료(감사보고서·문답서·확인서 등)와 수사기관의 수사자료(신문조서·진술조서·공소장 등)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징계를 받은 공무원이 소속기관에 내는 '징계부가금' 관리도 체계화됩니다.
징계부가금은 공무원의 금품·향응 수수와 공금 횡령·유용 비위에 대한 제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겁니다.
하지만 기존에는 납부·체납 현황 등을 각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해 체계성이 떨어졌습니다.
앞으로는 징계부가금 부과, 납부, 체납 시 징수 현황을 종합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일관된 양식의 '관리대장'이 의무적으로 마련됩니다.
연원정 인사혁신처장은 "개정을 통해 공무원 징계 절차 등 운영의 합리성과 실효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개정안은 오는 7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효인(hijang@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청주서 역주행 승용차가 경차 들이받아 9명 사상…"급발진 주장"
- 휴대전화 수리 맡긴 90대 속여 2억 빼돌려…대리점 직원 구속
- 왜 중국 시공사 건설 건물만 무너졌나…태국 당국, 조사 착수
- "SKY보다 의대"…서·연·고 자연계 학과 59%, 의대 최저 합격선보다 낮아
- 중국서 갑자기 날아온 맨홀 뚜껑 '쾅'…달리던 차 앞 유리에 박혀
- '머스크 반대' 전 세계로 확산…테슬라 매장 앞서 항의시위
- 온난화에 3년간 녹은 빙하 역대 최다…"20억 인류 생존 위협"
- 지진 속에서 태어난 '기적'…딸 무사 출산한 태국 여성
- '해저케이블 고의절단' 의혹 속 "중국, 고성능 절단기 개발"
- 미국, 학생비자 문턱 높인다…"SNS 검열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