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한테 무역흑자 내는 나라 어디지”..내달 2일 美상호관세, 한국도 표적 가능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천명한 상호관세 대상에 한국이 지목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 나왔다.
품목보다 무역적자 규모가 큰 국가로 초점이 맞춰지면서 미국 입장에서 주요 무역적자국인 한국이 포함된다는 설명이다.
앞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18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대상과 관련해 "우리가 '지저분한 15'라고 부르는 국가들이 있는데 이들은 상당한 관세를 (미국에) 부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무역적자국부터 강경 대응
EU·호주·일본 등 명단 오를듯
반도체 등 품목관세 유예 검토
車업계 ‘밀어내기 수출’ 박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4월 2일 발효할 관세 범위를 좁히고 있다고 보도했다. 품목별 관세는 미뤄두고 상호관세부터 부과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이 미국에 “해방의 날”이 될 것이라며 자동차,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와 상호관세를 동시에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상호관세 대상도 이른바 ‘더티 15’ 국가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18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대상과 관련해 “우리가 ‘지저분한 15’라고 부르는 국가들이 있는데 이들은 상당한 관세를 (미국에) 부과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국가명은 밝히지 않았다.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표적이 되는 국가는 지난달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미국과 무역 불균형’을 보이는 나라로 연방 관보에 게재한 목록과 유사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목록에는 주요 20개국(G20), 유럽연합(EU), 호주, 브라질, 캐나다, 중국, 인도, 일본, 멕시코, 러시아, 베트남 등과 함께 한국이 포함돼 있다고 WSJ는 전했다.
한국은 지난해 대미 무역흑자액이 557억달러(약 81조원)로, 미국 입장에선 8번째로 무역적자액이 큰 교역국이다. WSJ는 “미국의 주요 무역 상대국에 부과될 관세는 지난 수십 년간 보지 못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케빈 해싯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지난 17일 미국이 무역적자를 보고 있는 대표적 국가 중 하나로 한국을 언급했다.
다음달 상호관세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대미 수출을 서두르고 있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업계 관계자들을 인용해 자동차 제조사의 요청으로 해운업체들이 아시아·유럽에서 평소보다 ‘수천 대’ 더 많은 차량을 미국으로 실어 나르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다.
해운업체 발레니우스빌헬름센 관계자는 “우리가 고객사에서 받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물량이 아시아에서 나오고 있다”며 “수요 증가에 대응해 수송 능력을 늘렸고 선박이 부족하지 않았다면 수송 물량이 더 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해운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관세가 부과되는 기한 전에 미국으로 더 많은 차량을 보내려는 업체 중에 한국의 현대차와 기아도 있다고 전했다.
지난달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서 북미로 보내는 차량이 전년 동기 대비 15% 늘었고, EU와 일본도 미국으로 보내는 차량이 각각 22%, 14% 증가했다고 FT가 전했다. 현대차는 관세 대응 전략에 대한 언급을 거부하면서도 “우리는 시장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선적 계획을 계속 최적화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FT는 전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제일 친한 친구가 ‘쓰레기’라고 욕했다”…잃은게 너무 많다는 전한길 - 매일경제
- [속보] 정의선 “美에 31조원 투자”...트럼프 “현대차, 관세 없다” - 매일경제
- “엄마, 나 학교 짤린대”...미등록 의대생에 ‘제적 예정’ 통보한 연고대 - 매일경제
- [단독] 4천억원 웃돈에도 “안 판다”...미국 거대기업 제안 걷어찬 이 기업은 - 매일경제
- ‘탄핵 촉구’ 집회 참가 20대女 치고 달아난 운전자…경찰 “30대男 뺑소니 혐의로 수사 중 - 매
- “갤워치가 5년 빨랐네”…애플이 뒤늦게 개발 나선 ‘이 기능’ - 매일경제
- 뉴진스, 눈물의 활동 중단 선언...“우리 선택 후회하지 않아” - 매일경제
- [속보] 정의선 “美에 31조원 투자”...트럼프 “관세 안내도 돼” - 매일경제
- 일 잘하는 직원에 ‘돈쭐’ 낸다는 이 기업...“충분한 포상이 성공 비결” - 매일경제
- 손준호 사태 재점화? 中 매체 판결문 공개 “경기 템포 조절 제안 받아들여”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