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우보다 혹독한 현실…어부의 부서진 '만선' 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번쩍이는 번개와 함께 울려 퍼지는 요란한 천둥소리가 고요하던 극장 안의 적막을 깬다.
'만선'은 1960년대 남해안의 작은 어촌 마을을 배경으로 만선을 꿈꾸는 뱃사람 곰치네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는 연극이다.
이후 영화로도 만들어졌던 '만선'은 2021년 국립극단 70주년 기념작으로 무대에 다시 올랐고 2023년에도 관객과 만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64년 희곡 현상공모 당선작
사실주의 연극 정수…2년 만에 재공연
이달 30일까지 명동예술극장서
[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우르르 쾅!’
번쩍이는 번개와 함께 울려 퍼지는 요란한 천둥소리가 고요하던 극장 안의 적막을 깬다. 이윽고 천장에서 세찬 물줄기가 쏟아져 내리면서 휘몰아치는 폭풍우와 거센 파도가 무대를 덮치는 장관이 연출된다.
이 작품은 국립극단이 1964년 10만 원의 상금을 내걸고 진행한 희곡 현상공모 당선작으로 출발했다. 초연 당시 천승세 작가에게 제1회 한국연극영화상(현 백상예술대상) 신인상 트로피를 안겼다. 이후 영화로도 만들어졌던 ‘만선’은 2021년 국립극단 70주년 기념작으로 무대에 다시 올랐고 2023년에도 관객과 만났다.
출연진은 2년 전 공연 때와 같다. 곰치 역의 김명수, 곰치의 아내 구포댁 역의 정경순을 비롯해 관록의 배우들이 더욱 정교해진 합을 자랑하며 소름 돋는 연기를 펼치고 있다.
무려 5톤 분량의 물을 쏟아 부으며 부조리한 현실을 살아가는 서민들의 무력한 현실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공연은 오는 30일까지 서울 중구 명동예술극장에서 펼쳐진다. 심재찬 연출은 “기득권의 경제적·정신적 수탈 구조가 잘 드러나도록 신경썼다”고 말했다.
김현식 (ssik@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7년생 정동원, 강북 타워팰리스 산다…“20억원에 한강뷰”[누구집]
- 4세 여아 의붓딸 암매장 계부…그가 흘린 '눈물'의 의미[그해 오늘]
- 희비 갈린 '반세권'…완판 찍은 용인, 미분양 쌓이는 평택
- 한동훈 "내 복지 한번에 파악하는 '한평생복지계좌' 만들자"[만났습니다②]
- 반려견과 비행기 못 타자...공항 화장실서 익사시켜
- "말이 안 돼" AI도 놀랐다…백종원 이번엔 빽다방 '당 폭탄' 구설[먹어보고서]
- 뉴진스, 결국 활동 중단 선언… "법원 결정 존중"
- "그 많은 어른 중 단 한명도"...13살 여학생들에 성병까지 옮긴 '헬퍼'
- 美 그랜드 캐니언 여행 한국인 가족 3명 열흘째 연락두절
- "애국이야 좌파야?"…헌재 앞 식당 낙인 찍기, 사장님들 한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