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법원, 통일교 해산 여부 판결 임박…헌금 위법성 쟁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아베 신조 전 총리 살해범의 '모친 고액 헌금'으로 논란에 휩싸였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옛 통일교·이하 가정연합)에 대한 해산 여부 판결이 임박했다는 관측이다.
23일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법원은 고액 헌금 수령 등으로 논란에 휘말린 가정연합에 대한 해산명령 여부를 이르면 오는 25일 판결할 전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확정 시 옴진리교 등 이어 3번째 해산 사례
일본 아베 신조 전 총리 살해범의 '모친 고액 헌금'으로 논란에 휩싸였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옛 통일교·이하 가정연합)에 대한 해산 여부 판결이 임박했다는 관측이다.
23일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법원은 고액 헌금 수령 등으로 논란에 휘말린 가정연합에 대한 해산명령 여부를 이르면 오는 25일 판결할 전망이다.
현지 언론들은 도쿄지방재판소(지방법원)가 해산명령을 청구한 문부과학성과 가정연합 양측에 25일 출석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22년 7월 아베 전 총리를 살해한 범인이 "어머니가 통일교에 거액을 기부해 가정이 엉망이 됐다"고 범행 동기를 밝힌 이후 사회 문제가 되자 조사를 거쳐 법원에 해산명령을 청구했다.
올해 1월까지 1년 3개월간 이어진 비공개 심리 등에서 문부과학성은 고액 헌금에 민법상 불법 행위가 있다고 주장했고, 가정연합은 조직적 위법 행위가 없어 해산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맞섰다.
법원은 현재와 과거 신자들로부터 가정연합에 헌금한 경위 등을 듣기도 했다.
일본 종교법인법은 법령을 위반해 현저하게 공공복지를 해칠 것으로 분명히 인정되는 행위나 종교단체 목적에서 현저하게 일탈한 행위가 있으면, 법원이 해산명령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과거 법령 위반을 이유로 해산명령이 확정된 종교법인은 1995년 3월 도쿄 지하철역 사린가스 테러 사건을 일으킨 옴진리교 등 2개 단체가 있다.
다만 이들 단체는 모두 교단 간부가 형사 사건에 연루됨에 따라 해산된 사례로, 민법상 불법 행위가 처음으로 해산명령 근거가 될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앞서 대법원에 해당하는 일본 최고재판소는 이달 초순 가정연합이 종교법인법에 기초한 일본 정부의 조사 과정에서 일부 답변을 거부한 데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면서, 민법상 불법 행위도 해산명령에 포함된다고 판단했다.
해산명령이 확정되면 종교법인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종교상 행위는 금지되지 않고 임의 종교단체로 존속할 수 있다.
요미우리는 도쿄지방재판소가 어떤 판결을 해도 정부와 가정연합 모두 즉시 항고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박창주 기자 pcj@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광훈 10분 만나고 공천받아"…부정선거론자들의 선거
- 걸그룹 앞에 두고 "저출산 XX" 이용진, 사과 없이 개콘 출연
- "이진호, 너 살자고 날 죽이냐"…김새론 매니저, 결혼 녹취 제공 부인
- '섬망증세' 취급 조지호, 칭찬받은 김봉식…경찰도 '굴욕'
- 美 그랜드 캐니언 여행 한국인 3명 열흘째 연락두절
- '의대 2천명 증원 논란'…'정책유지' 48.9% vs '정책폐지' 33.8%
- 산청 산불 진화율 35% …대원 2명 사망, 2명 연락 두절
- 하라리 만나 'AI산업 지분 확보' 다시 띄운 이재명[영상]
- 산청 산불 실종자 2명 숨진 채 발견…사망 4명·부상 5명
- '사망·실종·부상' 산청 산불 진화율 35%…'야간 진화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