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1.7조 적자···서민금융 '생존기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새마을금고가 지난해 1조 7300억 원이 넘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농업협동조합의 상황은 상대적으로 낫지만 새마을금고와 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주요 서민금융기관의 적자 폭만 2조 7000억 원을 웃돌아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1276개 단위 금고가 1조 7382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고 21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축銀·신협도
3000억대 손실
"구조조정 시급"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새마을금고가 지난해 1조 7300억 원이 넘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농업협동조합의 상황은 상대적으로 낫지만 새마을금고와 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주요 서민금융기관의 적자 폭만 2조 7000억 원을 웃돌아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1276개 단위 금고가 1조 7382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고 21일 밝혔다. 이 같은 적자 규모는 역대 최대 수준이다. 부실 대출비율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3년 말 5.55%에서 지난해 말 기준 9.25%로 3.7%포인트나 급등했다.
다른 서민금융기관도 지난해 대규모 손실을 봤다. 업권별로 보면 △저축은행 -3974억 원 △신협 -3419억 원 △수협 -2725억 원 등이다. 산림조합의 경우 경제 사업을 더한 최종 수치는 236억 원 흑자지만 금융사업(신용)에서는 431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저축은행은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지난해 말 기준 10.66%로 10%를 돌파했다. 신협과 수협·산림조합도 1년 새 부실 대출이 급증했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소규모 조합들은 대형화를 통해 자산을 합치고 사업 범위를 넓혀 규모의 경제 효과를 노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서희 기자 shshi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뉴진스, 독자활동 못한다…전속계약 유효'·법원, 어도어 주장 ‘전부 인용’ 완승
- '최애 간식 바나나킥' 제니 한마디에…농심 시총 '2640억' 급등했다?
- '백종원, 소비자와 기싸움 하나' 원산지 표기한 '50cm' 영수증에 '갑론을박'
- '제주도 비행기 값에 놀라셨죠?'…한은 직원이 밝힌 최저가 '꿀팁'은
- '매일 운동하고 식단 관리했는데'…6개월 만에 20kg 찐 30대 여성, 무슨 일?
- 엄마 이어 두 동생도 '탕탕'…'총기 난사범' 되려던 10대 英소년 '징역 49년'
- '졸려서 낮잠 잤는데…'이 병' 걸릴 위험 2배' 80대 노인들 연구한 '충격' 결과
- ''이것'만 있으면 취업된다고?'…취업 가장 잘되는 자격증은 ○○○
- '운전 중 아냐?' 핸들에서 손 떼고 '기타 연주'한 운전자…동승 지인도 놀라
- 백종원 믿은 개미들은 우는데…억대 연봉에 배당금까지 '잭팟'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