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저출산 해결할 만병통치약 없다... 중장기적 노력 절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재의 출산율이 지속될 경우 잠재성장률은 현재 2%수준에서 2040년대 후반에는 0%대까지 하락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을 피하기 어렵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1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대우관에서 열린 '인구와 인재 연구원 개원 콘퍼런스'에서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5로 심각한 저출산 위기에 직면했다"며 "현재의 출산율이 지속될 경우 우리나라 인구는 5100만여명에서 50년 후 3000만명 수준으로 급감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현재의 출산율이 지속될 경우 잠재성장률은 현재 2%수준에서 2040년대 후반에는 0%대까지 하락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을 피하기 어렵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1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대우관에서 열린 '인구와 인재 연구원 개원 콘퍼런스'에서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5로 심각한 저출산 위기에 직면했다"며 "현재의 출산율이 지속될 경우 우리나라 인구는 5100만여명에서 50년 후 3000만명 수준으로 급감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저출산 현상은 수도권 집중과 과열된 교육경쟁, 청년층의 고용·주거·양육 불안, 그리고 경직된 노동시장 등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구조적 문제들의 결과물"이라며 "이러한 문제는 단 하나의 정책만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만병통치약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인 어려움을 일부 감수하더라도 중장기적인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 총재는 인재 육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도약을 위해 청년들이 도전하고 창의성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순응하는 성향이 강한 학생을 키우기보다,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인재를 육성해 나가는 방향으로 대학입시제도가 바뀌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Copyright © 베이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공적인 유보통합... "국가와 지자체가 책임지는 전연령 교육 돌봄 체계 마련돼야" - 베이비뉴스
- "가정어린이집, 국가 출산율 제고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인식해야" - 베이비뉴스
- '엉덩이뼈 썩음병'을 일으키는 최대의 원흉, ‘스테로이드’와 ‘술’ - 베이비뉴스
- GS25 편의점 "1.5억 개 판매된 전설의 PB 유어스야쿠르트그랜드가 제철 미나리를 만났다" - 베이비
- 연세유업X두산베어스, ‘연세우유 먹산 생크림빵’ 출시… 야구 팬 맞춤 간식 제안 - 베이비뉴스
-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봄 개화 시즌 ‘2025 그랜드 와인 페어’ 개최 - 베이비뉴스
- "내돈내산인데 너무 만족해요"... 믿고 샀더니 '뒷광고', 2만 6000개 넘어 - 베이비뉴스
- 발달장애 아동에게 '네', '아니오'를 가르칠 때 - 베이비뉴스
- 본죽&비빔밥, 봄·여름 맞이 ‘치즈쉬림프 비빔 포케’ 출시 - 베이비뉴스
- 위기영아,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 베이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