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우크라 원전, 美 소유"···종전 협상 ‘태풍의 눈’ 되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원전을 미국이 소유·운영하겠다는 제안을 내놓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의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19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약 1시간 동안 통화하며 전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합의한 '에너지 시설 30일 휴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개입 원하는 우크라, 부분 휴전 수용
러, 자포리자 원전 통제···소유권 논란 예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원전을 미국이 소유·운영하겠다는 제안을 내놓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의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19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약 1시간 동안 통화하며 전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합의한 ‘에너지 시설 30일 휴전안’에 대해 논의했다. 해당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원자력발전소를 포함한 전력 인프라를 미국이 소유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앞서 우크라이나의 광물 지분을 요구했던 그는 이번에는 “미국의 전력 및 유틸리티 전문성이 원전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마이클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인프라 시설을 보호하고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인프라를 지원하는 최선의 보호 방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목한 원전은 유럽 최대 원전인 자포리자 원전을 의미한다. 뉴욕타임스(NYT)는 “(양국이 체결 직전인) 광물협정은 얼마나 많이 추출하고 가공할 수 있느냐는 데 달려 있다”며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데, 유럽 최대 규모의 6개 원자로를 갖춘 자포리자 원전이 그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자포리자 원전이 우크라이나에 반환되면 미국의 참여와 투자로 발전소를 현대화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고 화답했다. 자포리자 원전은 우크라이나 직원들이 근무하지만 러시아 점령지에 속해 있다. 영토 협상이 본격화하면 러시아가 소유권을 주장할 공산이 크다. 향후 원전 운영에 미국이 관여하는 방안을 열어둠으로써 원전 반환 문제를 더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부분 휴전안을 수용하는 대신 미국이 휴전 감독 역할을 수행할 것을 요청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전면 휴전을 거부하고 공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갑작스러운 미국의 개입 축소로 우크라이나의 협상력이 후퇴하는 상황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이날 양국 정상은 실무 대표단을 구성해 휴전 이행을 위한 기술적 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하며 미국의 개입을 공식화하는 단계로 나아갔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국방 정보 공유에도 다시 합의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지원을 중단하라는 푸틴 대통령 측의 요구를 정면으로 거부하는 조치로 향후 러시아 측의 대응이 주목된다.
변수연 기자 diver@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피부과 시술 받다 2도 화상' 유명 여배우…법원, 의사에 '4800만원 배상하라'
- '제가 마약을 했습니다' 자수한 래퍼 식케이…檢 '죄질 나빠' 징역형 구형
- '위약금만 13억' 김수현, '대만 팬미팅' 참석할까
- '저속노화 교수님'도 결국 백기…'당직만 월평균 70시간 섰다'
- 훈육이라더니…11살 아들 야구방망이로 때려 숨지게 한 아빠 재판서 꺼낸 말
- '엄마 너무 피곤해요, 죽고 싶어요'…전쟁통에 머리카락 다 빠진 8살 소녀의 절규
- '통영 제조 '이 굴' 절대 먹지 말라' 美서 판매 중단에 회수 조치까지…무슨 일?
- '반려견이 뛰어들더니 가슴 냄새 맡아' 병원 갔더니 '이 병' 발견
- '김수현 실망스러워'…故 김새론 유족 '판도라 상자' 연다
- 국민 20명 중 1명 '암' 걸린다는데…전문의가 강조한 '암 막는 생활습관 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