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막는 똑똑한 BMS, 올해 25개 차종에 적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전기차 화재 예방에 도움이 되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신기술을 적용한 차량이 올해 25개로 늘어났다고 20일 밝혔다.
한편 공단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기차 화재 156건을 분석한 결과 발화장치별로는 고전압배터리가 85건으로 가장 많았다.
냉각수 히터·전원공급장치 등 차량 기타 장치가 39건, 보조배터리·휴대용 충전기 같은 외부요인이나 원인 미상이 32건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전기차 화재 예방에 도움이 되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신기술을 적용한 차량이 올해 25개로 늘어났다고 20일 밝혔다.
BMS는 배터리 상태를 살피고 제어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배터리를 쓸 수 있도록 관리하는 장치다. 과거에는 주차한 전기차 배터리가 이상해도 이를 알아채지 못하거나 화재 전조증상을 소방기관에 전달할 기능이 없었다.
공단에서는 전기차 화재 시 빨리 대응할 수 있도록 BMS 보호기능 평가를 지난해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 세계에서 처음 도입했다. 배터리를 상시 감시하는 것을 비롯해 자동 신고, 정보 저장 등 3가지 항목을 평가한다. 완성차 제작사가 이러한 기술을 차량에 장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배터리 안전성을 정부가 직접 인증하는 배터리 사전인증제도가 도입된 가운데 공단 측은 이 제도를 전담할 조직을 신설했다. 시범사업을 거쳐 미비점을 보완하고 세부 절차를 마련했다고 한다.
아울러 배터리 셀 제조사 등 주요 정보를 의무 공개하는 한편 배터리 식별번호를 차량 등록원부에 표기하도록 했다. 앞으로 배터리 전주기 관리나 사용 후 배터리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성능이나 수명, 잔존가치 등을 종합 관리하는 배터리 이력관리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전기차에서 불이 났을 때 원인을 분석하고 결함 가능성이 있으면 신속히 리콜 처리할 수 있도록 화재조사 분석시설을 지난해 11월 갖췄다. 정용식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전기차 화재 조사 관련 노하우와 연구 역량을 활용해 안전한 전기차 운행환경을 만들겠다"며 "사전 예방 측면에서 철저히 안전관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단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기차 화재 156건을 분석한 결과 발화장치별로는 고전압배터리가 85건으로 가장 많았다. 냉각수 히터·전원공급장치 등 차량 기타 장치가 39건, 보조배터리·휴대용 충전기 같은 외부요인이나 원인 미상이 32건이었다. 주차나 충전 중 화재가 103건으로 가장 많았고 주행 중(32건), 충돌사고 후(21건)가 뒤를 이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장암 피하려면 먹지마"…술·담배와 동급이라는 '이것' - 아시아경제
- "집에 간 尹 부부에 꽃다발 준 주민, 안보실 1차장 모친이었다" - 아시아경제
- "입에서 입으로 '러브샷 강요'"…대학 신입생 MT서 무슨 일이 - 아시아경제
- "전·현직 신부와 결혼해요"…단체사진 넣고 청첩장 뿌렸다가 中 발칵 - 아시아경제
- "5초 법칙 믿었는데"…바닥에 떨어진 음식, 1초 만에 세균 '득실' - 아시아경제
- "와! 한국 진짜 망했군요"…외신도 경악한 '7세 고시' 결국 - 아시아경제
- 100g 골드바 삼킨 中 소년…화장실서 내보내려다 결국 - 아시아경제
- '군면제' 대선주자 이재명·김경수·김문수…사유 살펴보니[대선주자와 병역][AK라디오] - 아시아
- "갑자기 몸이 가려워"…발칵 뒤집힌 대학 기숙사 무슨 일? - 아시아경제
- 팬·지인에 3700만원 빌리고 안갚아…'사기혐의' 티아라 아름 1심 유죄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