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유예 요청한 車 CEO들에게 “다들 안전벨트 매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초 관세 유예를 요청하는 자동차 업계 최고경영자(CEO)들과 전화 회의를 하면서 "모두들 안전벨트를 매야 한다"라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통화 후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에 대해 1개월간 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함으로써 일단 재계 요구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안전벨트' 언급은 관세를 결국은 부과하게 될 것이니 대비하라는 메시지로 해석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초 관세 유예를 요청하는 자동차 업계 최고경영자(CEO)들과 전화 회의를 하면서 “모두들 안전벨트를 매야 한다”라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관세 정책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자동차 메이커 ‘빅3’ 대표와 전화로 협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시행키로 한 대(對)캐나다·멕시코 25% 관세에 따른 타격을 우려한 자동차 업계의 목소리를 듣는 차원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통화 후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에 대해 1개월간 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함으로써 일단 재계 요구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안전벨트’ 언급은 관세를 결국은 부과하게 될 것이니 대비하라는 메시지로 해석됐다.
NYT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안전벨트’ 언급을 한 뒤 침묵이 흘렀다면서 “빅3 자동차 메이커 수장들은 이제 더 이상 (관세 부과를 막기 위해) 싸우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 것으로 보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는 단순한 협상 도구가 아니다”며 “그는 관세가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는 시행과 철회를 자신이 결정할 수 있는 일방적인 권한이며, 강자들이 자기 앞으로 와서 자비를 구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NYT는 백악관 참모들이 외국 당국자들과 CEO들에게 관세 문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억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고 소개하면서 그가 일부 관세에서 물러설 가능성은 여전히 있지만 ‘관세 드라이브’를 전면적으로 돌이키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진단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새론 ‘살려달라’ 했는데…“김수현 측, 이튿날 2차 내용증명 보내 압박”
- 관리비만 월 670만원 “미쳤다”...조인성, 김준수 사는 ‘이 곳’
- ‘이혼’ 이시영 “매일 이렇게 평화롭다면”…파리서 근황 공개
- ‘마약 투약’ 돈 스파이크 만기 출소…그가 용산으로 간 까닭은
- 백종원, 이번엔 전자레인지 돌린 플라스틱용기 논란
- “쓰레기 수거”…태국·중국서 김수현 입간판 등 광고홍보물 수난
- 전현무 “번아웃 수액으로 버텨…뇌정지에 말실수”
- 휘성 유족, 조의금 전액 기부 …“부정적 감정과 고통에 힘들어도 음악 멈추지 않았던 형”
- “아들도 나중에 하반신 마비?”…강원래, 선넘은 악플에 분노
- ‘폭싹’아이유, ‘애순’이어 ‘금명’까지 시청자 두 번 울렸다…1인 2역 완벽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