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위, 외국인 대상 지방관광 특화상품 공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방문의해위원회는 외국인 대상 지방관광 특화상품을 다음달 4일까지 공모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방문위는 이번 공모로 선정된 지방관광상품을 통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이 기존 수도권 중심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지방을 여행함으로써 외국인에는 한국 관광의 매력도를 높이고, 관광업계에는 인바운드 역량을 제고하는 계기로 삼아 지역관광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방문의해위원회는 외국인 대상 지방관광 특화상품을 다음달 4일까지 공모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이번 공모에서는 지방에 더 많은 외국인이 방문할 수 있도록 매력적인 지방관광상품을 최대 20개 발굴·선정해 지원한다. 공모대상은 올 5월 이내에 상품화해 연중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한 외국인 대상의 지방관광상품이다. 공모분야는 APEC 개최 계기 경북권 특화 관광상품(경주 및 경북권 대상), 외래객 방문 활성화 필요 지방관광상품(외래객의 방한 여행 중 방문지 1% 미만 지역 대상), 이색테마관광상품(서울·인천·경기·제주를 제외한 지역)이며, 기업별로 최대 3개 상품(3개 분야 중복 응모 가능)을 응모할 수 있다.
응모를 희망하는 기업은 외국인이 이용할 수 있는 매력적인 상품을 신규 개발하거나 운영 중인 상품의 상품성을 개선해 기존 상품과 차별화된 상품 기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상품 공모 주제는 K콘텐츠(K팝 등), K푸드(맛집, 미식체험 등), 자연경관, 레포츠(스포츠 체험 등), 전통·문화·역사이며, 이 중 최소 1개 이상의 주제로 지역의 관광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상품을 구성해야 한다. 1차 기획안 서류심사와 2차 발표심사를 거쳐 선정된 기업을 최종 발표한다.
최종선정된 상품운영기업에는 상품개발·운영에 필요한 개발비·운영비·홍보마케팅비 실비(상품당 최대 4400만 원 지원), 상품기획 및 홍보마케팅 관련 전문가 컨설팅, 상품홍보용 온·오프라인 콘텐츠 제작, 글로벌 여행플랫폼(OTA) 내 상품등록 및 기획전을 통한 판로개척, 참여기업 간 네트워킹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며, 상품 기획부터 운영, 판매까지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전반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응모 기업은 ‘2025 지방관광 특화상품 공모’ 상의 자격요건 및 세부내용 등 공모요강을 확인해 4월 4일 오후 2시까지 참여신청서 및 상품계획서 등의 서류를 전자우편(local2025@vkc.or.kr)으로 접수하면 된다. 공모 세부사항은 방문위 홈페이지(https://vkc.or.kr) 및 한국관광공사에서 운영하는 한국관광산업포털 ‘투어라즈 (https://touraz.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방문위는 이번 공모로 선정된 지방관광상품을 통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이 기존 수도권 중심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지방을 여행함으로써 외국인에는 한국 관광의 매력도를 높이고, 관광업계에는 인바운드 역량을 제고하는 계기로 삼아 지역관광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남호철 여행선임기자 hcnam@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0대 ‘그냥 쉰다’ 인구 6개월 연속 최대치
- 대치서 6.8억 올랐다… 서울시 “상승률 미미”→“예의주시” 급변
- 커지는 ‘밀크플레이션’ 공포… 하얗게 질린 식품업계
- 통풍 무시 마세요… 방치하면 무서운 ‘이 병’ 부릅니다
- “25기 광수에 경의”…이준석이 ‘나솔’ 언급한 이유는?
- 만나자는 김수현·사과하라는 김새론 측…“진실과 다른 이슈만 각인 우려”
- 암 투병 자녀 주려고 고기 훔쳤다가…생계형 범죄 잇따라
- “덕분에 청춘을 버텼다”…故 휘성, 16일 영면
- ‘농약통’으로 주스 살포…백종원, 이번엔 식품위생법 위반 의혹
- “장애 있어요” 호소에도 주거지 침입해 성폭행한 50대…처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