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미용 투어' 열풍…리무진 픽업에 호텔 예약까지[외국인, 韓 미용에 빠지다]
韓 피부·성형외과 '공장형 병원' 증가
SNS 마케팅과 '외국인 특화 병원'까지
외국인 취업 알선…병원 제공 'F-비자'
"오마타세이타시마시타. 고안나이이타시마스(오래 기다리게 해 죄송합니다. 안내하겠습니다.)"
15일 서울 명동의 한 피부과는 진료 시작 30분 전부터 고객들로 북적였다. 키오스크에는 이미 14명이 대기 중이었다. 이곳은 호텔이 딸린 건물 지하 1층을 통째로 사용해 숙박과 시술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입소문을 타고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인기다. 출국 전 시술을 받기 위해 캐리어를 끌고 온 외국인도 눈에 띄었다. 직원들은 호텔처럼 자연스럽게 캐리어를 받아 정리하고, 고객이 시술 후 찾아갈 수 있도록 번호표를 건넸다.
데스크 직원들은 각국 국기 배지를 착용해 응대 가능한 언어를 표시했다. 일본 국기 배지를 단 직원은 "OO 사마(님을 뜻하는 일본어)"를 연신 부르며 고객을 맞이했고, 미국 국기 배지를 단 직원은 "어린아이들은 원래 호기심이 많죠"라며 백인 부부와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며 상담실로 안내했다. 이 병원은 기본적으로 중국어와 일본어가 가능하며,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응대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일본인 고객이 많았다. '모리카와', '요코가와', '사이토' 등 일본 이름이 연이어 불리고 나서야 한국인 이름이 등장할 정도였다. 중장년층 고객들은 리프팅 상담을, 20~30대 젊은 고객들은 윤곽 주사나 모공 관리 등을 예약하는 모습이었다. 명동에서 쇼핑을 마친 뒤 병원을 찾은 20대 일본인 카렌 씨는 "일본에서는 한국인 피부가 하얗고 깨끗하다는 이미지가 있다"며 "한국은 피부과 시술도 저렴하고 화장품도 좋아 여행 올 때 꼭 체험해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한국 피부과와 성형외과가 관광 산업의 한 축이 된 배경에는 '공장형 병원'의 증가가 있다. 대규모 고객을 유치해 단가를 낮춘 프랜차이즈 병원들이다. 미용 강국 일본에서도 일부러 한국을 찾는 이유 중 하나가 이 저렴한 시술비다.
예를 들어, 도쿄에서 색소침착 개선을 위한 피코토닝 레이저를 받으면 1회 비용이 약 1만3000엔(12만7000원)이며, 보통 6~10회 단위로 결제해야 한다. 6회 시술비만 해도 6만5000엔(약 63만원), 즉 1회당 10만원 수준이다. 반면, 명동이나 홍대의 피부과에서는 피코토닝에 비타민 관리, 모델링 팩까지 포함해 2만9000원에 받을 수 있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의료 체계 차이도 영향을 미친다. 일본에서는 피부과 등 일부 진료과에서 의료 독점이 없어 간호사도 간단한 레이저 시술이 가능하지만, 한국은 의사만이 직접 시술할 수 있다. 이 점이 외국인들에게 신뢰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한국 미용 투어'가 유행하고 있다. 무박 2일, 1박 2일 혹은 당일치기로 피부·성형외과 시술을 받는 일정이 짜여진다. 일본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아메블로에는 관련 후기가 많다.
한 블로거는 '하루에 몇 번이나 미용 시술을 받을 수 있을까? 한국 미용 의료 투어 다녀왔습니다'라는 글에서 퇴근 후 밤 비행기를 타고 서울에 도착해 다음 날 피부과 투어를 다닌 일정을 소개했다. 그는 명동에서 숙박 후 강남으로 이동해 목주름 필러를 맞고, 또 다른 병원에서 피부 재생 주사 '리쥬란 힐러'를 맞은 뒤 간장게장 정식을 먹고 일본으로 돌아갔다. 후기에는 "의사의 손재주가 좋아 붓기도 거의 없었다"며 병원 추천 링크까지 첨부했다.
이에 한국의 피부·성형외과는 외국인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일본과 중국 SNS 마케팅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강남 위주였던 병원들이 이제는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명동과 홍대로 확장되는 모습이다.
일본 X(구 트위터)나 아메블로에는 '한국 아이돌처럼 변신 가능!'이라는 광고 문구와 함께 당일 성형 프로그램을 홍보하는 글이 많다. 일부 병원은 아침에 입국해 당일 수술 후 귀국할 수 있다고 홍보하며, 심지어 지방흡입·이식·가슴 확대술까지 즉시 일상생활 복귀 가능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고급 옵션으로 리무진 픽업과 호텔 예약까지 제공하는 곳도 있다.
일부 병원은 외국인 직원을 유치하기 위해 정착 지원금까지 지급하며 채용 홍보에 나서고 있다. 한국어가 가능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F-비자'(거주 가능 비자)를 병원에서 보증해준다고 홍보하며, 관광뿐 아니라 취업 시장에서도 역할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한국에서 성형외과 코디네이터를 목표로 1년간 유학했던 일본인 사사키 유키 씨는 "한국 아이돌을 좋아하다가 한국에서 일하고 싶어지는 친구들이 많다"며 "특히 성형외과 코디네이터는 모국어를 살릴 수 있고 수요도 많아 취업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고 전했다.
전진영 기자 jintonic@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월 산골서 마이바흐로 미행하다 쾅…가해자는 피해자 여친 남동생이었다 - 아시아경제
- "이러다 굶어 죽는다, 도와달라"...한국 모욕하고 다니던 유튜버 근황 - 아시아경제
- "한달 3500만원 벌어요"…3억 마이바흐 베이징 택시 놀라운 수입 - 아시아경제
- "불 타는 모습 지켜봐" 10년 모아 산 4억짜리 페라리, 인수 1시간 만에 '활활' - 아시아경제
- "나이 드니 후회" "지금도 잘 살아"…SNS로 본 딩크족들 속마음 - 아시아경제
- "미장보다도 훨씬 낫네"… 작년부터 72% 급등, 천장 안보이는 '금값' - 아시아경제
- 부진한 실적에 직원들 급여 25억 깎고선…'수십억 연봉' 챙긴 강성희 회장[기로의상장사]오텍② -
- "마통으로 버텼는데…부고 문자 눌렀다가 5000만원 털렸어요" - 아시아경제
- 30년 절대강자 냉동만두 제쳤다…싼데 골라먹는 재미, 편의점 1등 찍은 '이 간편식' - 아시아경제
- '서른에 2조원 벌었다'…테일러 스위프트 제친 최연소 억만장자女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