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책 읽는 여성 노동자'들
[이현경]
기자말 |
"힘든 일을 하는 그들의 혼이 작은 예술과 사랑과 아름다움을 알았다. 그렇다, 우리가 싸우는 것은 빵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장미를 위해서도 싸운다." -제임스 오펜하임의 시 '빵과 장미' 중 2025년 3.8 세계여성의날을 맞아 우리는 성별 임금 차이 없는 평등 일터, 비정규직 차별 없는 평등 일터, 성폭력 없는 안전한 일터를 위해 한 목소리를 내고자 한다. '우리에게 빵과 장미를 달라!' 113년 전 미국 메사추세츠 주 로렌스지방의 섬유산업 여성 노동자들이 생존과 존엄을 지키기 위해 투쟁한 것처럼. 공공운수노조는 <평등으로 다시 만난 세계: 차별에 저항하는 여성노동자의 목소리> 기획연재를 통해 성차별적인 복무규율(메이크업, 유니폼, 구두 등)을 비롯해 여성 노동자의 건강권 문제, 초단시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 전환 요구, 남초 사업장에서 활동하는 여성 노동자페미니스트의 목소리를 전달할 예정이다. 탄핵 정국에서 광장으로 나온 여성 노동자들의 연대와 저항의 목소리를 들어보자. |
남성이 기본값인 지하철 보안관
"여기 직원 어디 있어요?"
눈앞에 있는 여성 노동자 너머로 누군가를 자꾸 찾으며 승객이 하는 말이다. 심지어 일하는 와중에 "봉사활동 하러 온 거냐?"는 말을 듣기도 했다. 응대하는 여성 노동자에게 "너 말고 남직원"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 여성 노동자는 눈에 보이지 않는 투명 인간인가? 도움을 청할 때조차도 여성 직원을 "아가씨~"라고 부르고 남성은 "직원분~, 직원님~"이라고 부른다.
취객들은 더 가관이다. 혀가 꼬이고 몸을 가누지 못하여 쓰러질 듯 위태로운 모습으로 여성 노동자에게 반말과 고성으로 일관하다가도 남성 노동자가 나서는 경우 당장 태도가 공손해진다. 방검복을 입은 여성 보안관이 경광봉, 무전기를 들고 열차 안 안전을 점검하면 신기해하며 뚫어지게 쳐다보기도 한다. 역에서 수시로 만나고 있는 할머니 한 분은 말할 때마다 "여자가…", "여자는…"을 입에 달고 사신다. 역에서, 열차 안에서, 지하철의 다양한 업무 공간에서 여성이 노동자로서 일하고 있는데 아직도 많은 경우 우리는 노동자가 아닌 '여자'로만 보이는 것 같다.
사실, 작업장 밖에 있는 시민들만 우리를 그렇게 대하는 것은 아니다. 회사 내부에서도 여성 노동자는 '여자'이다. 공지사항을 적는 게시판을 매달 바꾸는 것조차 '꾸미기'는 여자들이 잘하니 여직원이 하라고 건네준다. 이밖에 사소한 업무 분장 역시 마찬가지다. 남녀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채용했는데도 여성이 남성과 같은 급여를 받는 것이 마치 여성에게 행운이거나 혜택인 것처럼 표현하는 데 거리낌이 없다. 현장의 말단 관리자 중 여성 비율이 이제 갓 10%를 넘었다. 그런데 남성 노동자들은 해당 간부의 90%가 남성이라는 현실보다 나머지 10%가 여성이라는 것이 대단히 불공평한 것처럼 불평했다.
여성 노동자가 느끼는 성차별적 인식과 행위가 작업장에 여전한 상황에서도 시대와 사회가 변하면서 사업장에 직장 내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안전장치가 '형식적으로'는 구비되었다. 성희롱고충상담위원회가 운영되었고 직장 내 성폭력 관련 매뉴얼이 만들어졌다. 서울시와 여성가족부의 지적 사항을 반영하여 규정들은 세세하게 정비되었다. 우리가 현장에서 체감하는 변화와는 무관하게.
|
▲ 2022년 9월 16일 오전 서울 중구 신당역 여성화장실 입구에 스토킹 살인사건의 희생자인 여성 역무원을 추모하는 국화꽃과 시민들이 작성해 붙인 메모가 붙어 있다. |
ⓒ 권우성 |
우리의 요구에 여성 노동자들이 가장 먼저 화답했다. 민주노총, 산별, 단위노조의 이름으로 여성 노동자들이 함께 투쟁했다. 여성이 평등한 사회, 여성이 안전한 사회를 주장하고 활동해 온 다양한 여성 단체들이 추모의 자리, 투쟁의 현장을 지켰다. 피해자의 죽음을 애도하며 장례식장을 찾고, 추모제를 열고, 추모집회를 하는 모든 자리에 작업장 밖 여성 노동자들, 여성 단체 활동가들이 함께했다.
|
▲ 2023년 3월 8일 열린 3.8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대회에 참가한 이현경 조합원(오른쪽 맨 끝) |
ⓒ 이현경 |
책 모임에 걸맞게 그동안 우리가 함께 읽은 책은 73권이나 된다. 우리는 종이책을 읽을 뿐만 아니라 여성 예술가들의 그림과 공예, 사진을 찾아다니고, 여성의 삶을 영화로 만나고, 여성 노동자가 치열하게 싸웠던 역사적 장소를 걸으며 지난 투쟁의 의미와 현재성을 만나기도 하였다. 우리가 투쟁하는 자리에 연대하러 온 동지들의 뜨거운 마음을 받아 감격하기도 하였고 힘든 싸움을 해나가고 있는 동지들에게 머릿수라도 보태고 싶어서 그 곁에 가서 함께 서 있기도 하였다.
우리는 앞으로도 오래도록 같이 읽을 것이고 다른 여성 노동자들에게도 같이 공부하고 놀자고 권할 것이다. 퇴근 후 혼자 가볍게 오던 모임에 지금은 엄마가 되어 잠투정하는 아이를 달래서 업고 오기도 하고, 야간근무 후 금쪽같은 휴일 저녁에 두 시간 고속버스를 타고 와서 모임에 참여하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는다.
몇 년 후 퇴직하면 퇴직자 읽기 모임을 만들자고 제안한다. 혼자서는 읽지 않았을 책들, 함께 읽으면서 알게 된 여성과 여성 노동자의 수많은 이야기들, 몰라서 지나치고 용기 내기 힘들어서 외면했을 여성 노동자의 투쟁과 삶을 공유하고 동참하자고 서로를 계속 채근해 나갈 것이다. 그리고 외칠 것이다. "세상을 바꾸자!", "우리가 평등이다!"
덧붙이는 글 | 지하철 현장에서 오랫동안 일해온 여성 노동자이고 여성활동가인 이현경은 공공운수노조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 조합원으로 최근 <작업장의 페미니즘>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해당 책을 읽고 토론하는 읽기 모임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오는 26일엔 공공운수노조 여성위원회의 주최로 북토크도 열린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