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드메의 문단속, 상품권 깡…MZ 눈길 사로잡은 국세청
국세청이 지난 2월~3월 발표한 보도자료 제목이다. 특히 지난 2월 11일 올라온 ‘2030 울리는 스∙드∙메, 산후조리원, 영어유치원 세무조사’ 자료의 부제목 ‘스·드·메의 문단속’이 눈길을 끌었다. 이는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일본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을 패러디한 것이다. 강민수 국세청장이 직접 낸 아이디어로 알려졌다.
이 보도자료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크게 화제가 됐다. 누리꾼들은 “보고서 검토하는 분들이 스즈메의 문단속을 어떻게 아는가”, “공식 보도자료 같은데 스드메의 문단속이라고 쓰여있으니 제대로 했으면 좋겠다”, “국세청 열일하네” 등 댓글이 달렸다.
‘얼·죽·신’도 마찬가지다. 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라는 뜻으로, ‘얼죽아(얼어 죽어도 아이스아메리카노)를 패러디한 신조어다.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생긴 말이다. 국세청은 지난 2월 17일 ‘얼·죽·신, 똘똘한 한 채 열풍에 편승한 변칙적·지능적 부동산거래 탈세 세무조사’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국세청은 지난 3월 6일에는 ‘치명적 유혹, 사이버 룸살롱 등 유해 온라인 콘텐츠 제작·운영자 세무조사’ 보도자료를 통해 엑셀방송(합동방송) 운영자, 딥페이크 도박사이트업자, 사이버 레커 유튜버 등 17건 탈루 혐의를 검증했다고 밝혔다.
이런 제목 덕에 홍보 효과가 커졌다. ‘사이버 룸살롱’ 보도자료가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오자, 조회수 7만을 넘겼다. 또 누리꾼들은 “내용과 별개로 제목 잘 지었다”, “워딩이 ‘범죄와의 수준’이라 궁금해진다” 등 반응을 보였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93%’ 개미 울린 이 종목...19만원에서 1만2000원 - 매일경제
- [단독]KDDX 결국 수의계약 가나? 방사청 발언두고 방산업계 와글와글 - 매일경제
- “왜 구글맵 안 돼요?”...규제 풀면 ‘33조 관광 수입’ - 매일경제
- 줄기세포 치료 해외 원정 시대 끝...빗장 풀린 K재생의료 [스페셜리포트] - 매일경제
- “올해 한국은 4월부터 11월까지 여름”...기상 전문가의 예측 - 매일경제
- 김수현 ‘미성년 교제’ 의혹에 광고계 비상등…뚜레쥬르 “재계약 안해” - 매일경제
- 무너짐은 한 순간에 불과했다...비트코인, 8만3천달러대 회복 - 매일경제
- 9급 월급 200만원대 인상... 그러나 공무원 이직 의향 나날이 증가 - 매일경제
- “주가 14만원에서 5천원 누가 떨어뜨렸나”...CGV, 희망퇴직 받았다 - 매일경제
- 홈플러스 어음, 은행권서 부도 처리...당좌거래 정지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