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게이츠 만난 정기선, SMR 위해 맞손…韓美 산업 동맹 핵심되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2일 미국의 철강 관세를 계기로 한국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사정권에 들어왔지만, 조선, 액화천연가스(LNG)에 이어 소형모듈원자로(SMR) 분야에서는 한미 간 '산업 동맹'이 구축되고 있다.
특히 빅테크 기업이 몰린 미국의 경우 AI 개발 및 산업화를 위한 데이터 센터 운영이 필수적인데 미국의 전력 공급이 이를 충족하지 못해 아마존, 구글, 메타 등이 저마다 SMR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HD현대는 이날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미국 SMR 기업 테라파워 창립자 빌 게이츠와 최근 만나 SMR 개발 및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테파라워가 개발한 SMR은 4세대 소듐냉각고속로 방식인데, HD현대중공업이 이 SMR의 핵심인 원자로 주기기를 공급하고 최적화된 제조 방안을 도출한다. 앞서 HD현대는 2022년 11월 테라파워에 3000만 달러를 투자하며 협력 관계를 구축했고 지난해 12월에는 테라파워와 원통형 원자로 용기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SMR 사업을 본격화했다.
SMR은 소형 원전으로 불리는 차세대 발전소로 일반 원전처럼 천문학적인 건설 비용과 넓은 부지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전력 수요가 큰 개별 기업 단위나 산업 단지를 위한 발전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빅테크 기업이 몰린 미국의 경우 AI 개발 및 산업화를 위한 데이터 센터 운영이 필수적인데 미국의 전력 공급이 이를 충족하지 못해 아마존, 구글, 메타 등이 저마다 SMR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더욱이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 내 에너지 생산 확대를 위해 원전 개재, SMR 상업 운전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책적 지원을 벌이고 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4일 행정명령을 통해 국가에너지지배위원회를 만들었는데, 이 위원회의 목적은 원전 개재와 SMR 상업 운전이다.
이러한 미국 정부의 SMR 확대 움직임은 세계 최고의 원전 건설 기술과 공급망을 가지고 있는 한국에는 기회가 되고 있다. 미국은 1980년 중반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 이후 지금까지 신규 원전을 건설한 적이 없다. 설계 기술은 세계 최고지만, 건설 능력은 없는 것이다. 반면, 한국은 1978년 고리 원전을 시작으로 최근 신한울 1~4호기를 건설하는 등 두터운 원전 공급망과 건설 기술을 보유한 원전 강국이다.
그 결과 HD현대를 비롯해 현대건설,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 대우건설, DL이앤씨 등 국내 기업은 설계 기술을 보유한 미국의 SMR 업체와 손을 잡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건설은 지난달 미국 SMR 업체 홀텍과 SMR 건설을 위한 협력을 맺었고 미시간주에 올 연말 SMR 2기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도 SMR 파운드리(위탁생산 전문기업) 업체를 목표로 미국 3대 SMR 기업인 엑스에너지, 테라파워, 뉴스케일파워와 모두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우자-두자녀에 20억 물려줘도 상속세 ‘0’원
- 이재명, 선거법 2심 선고 앞두고 위헌심판 추가 신청
- 최재형 “인권 생각하면 ‘尹 구속 취소’ 맞지만 탄핵은 불가피” [황형준의 법정모독]
- 우원식 의장 “崔대행, 마은혁 헌법재판관 즉시 임명하라”
- [단독]尹측근 이완규, 과거 저서에서 “구속기간은 시간 아닌 날짜로 계산해야”
- [단독]종로구청, 헌재 반경 1km 노점상에 尹선고일 휴무 협조요청
- [속보]EU “4월부터 41조원 규모 美제품에 보복관세”
- 北, ‘공군 오폭사고’ 거론하며 연일 한미연합훈련 비난
- ‘하늘양 살해’ 여교사 명재완 “사이코패스 아니다” 1차 소견
- 휘성 부검 “사망원인 알 수 없다”…국과수 “약물 등 정밀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