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IR 직접 챙긴다"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유럽행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이 새해 첫 해외 일정으로 유럽행을 택했다.
빈 회장은 취임 이후 홍콩과 싱가포르, 미국 등 주요 해외 기관투자자들과의 스킨십을 늘리며 'BNK 세일즈맨'을 자처해온 만큼 올해도 주요 투자자들을 직접 챙긴다는 구상이다.
BNK금융지주 관계자는 "주요 해외 IR 일정은 회장님이 직접 챙겨오시고 있다"면서 "유럽행은 이번이 처음이다"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우선 경영과제 '주주환원' 꼽아
올해도 주요 주주들과 스킨십 늘려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이 새해 첫 해외 일정으로 유럽행을 택했다. 빈 회장은 취임 이후 홍콩과 싱가포르, 미국 등 주요 해외 기관투자자들과의 스킨십을 늘리며 'BNK 세일즈맨'을 자처해온 만큼 올해도 주요 투자자들을 직접 챙긴다는 구상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빈대인 BNK 금융지주 회장이 2월25일부터 28일까지 3박4일 일정으로 프랑스 파리와 영국 에든버러, 런던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 해외 기관투자자들을 만나 지난해 경영실적을 발표하고 주요 경영 현안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빈 회장이 해외 투자자들을 직접 만나는 건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해 5월 홍콩과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10월에는 미국 시카고와 뉴욕에서 직접 회의를 주관하며 해외 기관투자자들과 스킨십을 늘려왔다. 이번에 프랑스와 영국행은 빈 회장의 올해 첫 해외 일정으로, 유럽 기관 투자자들을 만나는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BNK금융지주 관계자는 "주요 해외 IR 일정은 회장님이 직접 챙겨오시고 있다"면서 "유럽행은 이번이 처음이다"라고 설명했다.
빈 회장이 투자자들을 직접 만나며 스킨십을 늘려온 덕분에 계엄 이후 금융지주 중 BNK금융지주만 유일하게 외국인 투자자들의 이탈이 없었다. 덕분에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이후 3거래일 동안 주요 금융지주들이 10%대 낙폭을 기록한 반면 BNK금융지주는 5.49% 상승했다. 외국인 지분율은 빈 회장 취임 당시 35.85%에서 현재 40.58%(19일 기준)까지 올랐다.
BNK금융지주는 올해 더 강한 주주환원책을 약속하며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BNK금융지주는 8월까지 자사주 400억원을 매입한다고 밝혔다. 실적발표를 통해 올해 총주주환원율을 30% 후반으로 제시하면서 하반기에도 약 6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주주환원 의지와 좋은 실적으로 BNK금융지주 주가도 힘을 받고 있다. BNK금융지주는 지난해 8027억원의 순이익을 거둬들였다. 이는 전년(6398억원) 대비 25.5%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주가도 화답했다. 빈대인 회장이 취임한 2023년 3월 당시 주가는 6000원대로, 꾸준히 상승해 2018년 6월 이후 지난해 6년 만에 1만원을 돌파했다. 전날(19일) 종가 기준으로는 1만1800원을 기록했다. 최고가는 지난 1월31일 장중에 기록한 1만2300원이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상반기 중 400억원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발표하면서 2027년까지 총주주환원율을 대폭 상향하겠다는 밸류업 공시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크게 높였다고 판단한다"면서 "주주환원 측면에서 기대에 정확히 부합하는 흠 잡을 데 없는 실적에다, 최근 주가가 크게 상승했음에도 추가 상승 여력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오규민 기자 moh011@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장암 피하려면 먹지마"…술·담배와 동급이라는 '이것' - 아시아경제
- "와! 한국 진짜 망했군요"…외신도 경악한 '7세 고시' 결국 - 아시아경제
- 부모 잃고 노숙자 생활하던 청년, 밀크티 팔아 30대에 '3조 부자' 됐다 - 아시아경제
- "우리는 폭싹 망했수다…1만 관객 영화가 박스오피스 2위라니" - 아시아경제
- 한국 최초 '1억 유튜버' 나왔다…1일 예상 수익이 무려 6억 - 아시아경제
- "제일 좋아하는 과자인데"…블핑 제니 한 마디에 '월클' 된 이 과자 - 아시아경제
- "고객들이 파도처럼 밀려온다"…'재산 대탈출' 시키는 美 부자들에 신난 스위스 - 아시아경제
- "남는 게 있나요?"…김밥 4000원 시대에 등장한 '1900원' 김밥[먹어보니] - 아시아경제
- "집에 간 尹 부부에 꽃다발 준 주민, 안보실 1차장 모친이었다" - 아시아경제
- "비판 수용하겠다"…충암고동문회, '충암의 윤석열' 글 논란에 입장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