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텅텅빈 진열대, "손해 보곤 못 팔아요"…가질 수 없는 너 '골드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이 없는 상태에서 저희가 팔면 마이너스죠. 수급이 원활해지면 다시 팔 거에요."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귀금속 거리의 한 금은방에서 만난 판매원은 골드바 시세를 묻자 "금이 동나서 주문이 어렵다"고 말했다.
금은방 판매원 서민재씨는 "가게 측에서 한국금거래소에서 주문해 둔 금도 대기가 걸려 새 상품 주문은 안 받고 있다"면서도 "위탁상품만 즉시 구매할 수 있다. 정가보다도 비싸지만 워낙 골드바를 구하기 힘드니 사 가시는 분이 많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은방에 골드바가 없더라
손님들 아쉬움 속 발길 돌려
“금이 없는 상태에서 저희가 팔면 마이너스죠. 수급이 원활해지면 다시 팔 거에요.”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귀금속 거리의 한 금은방에서 만난 판매원은 골드바 시세를 묻자 "금이 동나서 주문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곳에는 골드바 구입 문의 전화가 쇄도하고 있었고, 진열대에는 골드바 7개밖에 남아있지 않았다.
금 투자 열풍 속 골드바 품귀 현상이 지속되면서 국내 대표적 금 도소매 거래 현장인 종로 귀금속 거리에서도 ‘금이 씨가 말랐다’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골드바를 판매하는 남모씨는 "고객에게 판 만큼 공급이 돼야 하는데 회사든 개인이든 파는 사람이 없어 골드바를 시장에 내놓을 수 없다"며 "많은 양의 금이 프리미엄이 붙은 KRX 금 현물 시장으로 들어가 있어 종로 도매 쪽에는 실물 금이 유통되지 않는 상황이다. 기존에 계약된 물량을 넘어 추가 주문은 받을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금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 보니 고객이 올린 위탁상품을 중개하는 데 주력한다는 상인들도 있다. 금은방 판매원 서민재씨는 "가게 측에서 한국금거래소에서 주문해 둔 금도 대기가 걸려 새 상품 주문은 안 받고 있다"면서도 "위탁상품만 즉시 구매할 수 있다. 정가보다도 비싸지만 워낙 골드바를 구하기 힘드니 사 가시는 분이 많다"고 말했다. 위탁 골드바 10돈짜리(37.5g)은 낮 12시 기준 650만원이었다.
골드바를 판매하는 남현모씨는 "고객에게 판만큼 수급돼야 하는데 회사든 개인이든 파는 사람이 없어 골드바를 시장에 내놓을 수 없다"며 "많은 양의 금이 프리미엄이 붙은 KRX 금 현물 시장으로 들어가 있어 종로 도매 쪽에는 실물 금이 유통되지 않는 상황이다. 기존에 계약된 물량을 넘어 추가 주문은 받을 수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금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 보니 고객이 올린 위탁상품을 중개하는 것이 흔해졌다. 하루에도 여러 번 바뀌는 금값은 판매자가 부르는 게 값이다. 금은방 판매원 서민재씨는 "가게 측에서 한국금거래소에서 주문해 둔 금도 대기가 걸려 새 상품 주문은 안 받고 있다"면서도 "위탁상품만 즉시 구매할 수 있다. 정가보다도 비싸지만, 워낙 골드바를 구하기 힘드니 사 가시는 분들이 많다"고 말했다. 위탁 골드바 10돈은 정오 기준 650만원이었다.
귀금속 거리에선 골드바를 사러 왔다가 빈손으로 발길을 돌리는 사람을 여럿 볼 수 있었다. 김모씨는 "장기 투자할 생각으로 이번 주 골드바 10돈으로 시작하려고 했는데 살 수 없었다"고 했다. 금 투자에 대한 관심은 남녀노소가 따로 없다. 유튜브와 온라인상에서는 젊은 층 사이에서 금투자 방법 관련 게시물에 대한 관심이 폭발하고 있다. 귀금속 거리에서 만난 박모씨는 "친구가 콩알금을 조그만 병에 모아두고 있다고 해서 나도 알아보려고 나왔다"며 "콩알금도 한 돈에 59만원씩 하고 구하기 쉽지 않은 것 같은데 이럴 바엔 차라리 ETF에 투자하는 것이 낫겠다"고 말했다.
골드바는 수요 폭발로 동난 지 오래지만 전통적 금반지 수요는 시들한 편이다. 금은방 직원은 "금 한 돈 가격이 60만원을 하다보니 아무래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것 같다"며 "반돈짜리 돌반지가 주된 선택지가 된 지 오래지만 그마저도 별로 나가지 않는다"고 했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 물가 상승 가능성이 커지고, 도널드 트럼프 경제정책 방향에 따른 불확실성 때문에 금값이 오르고 있다"며 "달러가치와 금리가 떨어질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금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이가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은서 수습기자 libr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랑 나누던 곳이 세상 떠나는 곳으로"…日 러브호텔 이유있는 변신 - 아시아경제
- 넷플릭스에서 받은 160억…코인·명품에 다 써버린 감독 - 아시아경제
- '이게 뭔데?'…"외국인들 싹쓸어 갔다" 편의점서 매출 22배 대박난 음식 - 아시아경제
- '소름돋는 기술력'…"2년 된 척수마비 환자, 하루 만에 움직였다" - 아시아경제
- "韓 이곳 굴 절대 먹지마"…美서 판매 중단에 회수 조치까지 무슨 일? - 아시아경제
- "열심히 하겠다" 90도 인사…이부진, 돌체 앤 가바나 주총 패션 '눈길' - 아시아경제
- "제주여행 너무 비싸요" 불평에…'저렴한 날짜' 찾아낸 한은 직원 - 아시아경제
- "할머니, 자면 안 돼요"…낮잠 늘수록 '이 병' 걸릴 위험 2배 '쑥' - 아시아경제
- 홍콩행 여객기서 불 나자…생수·주스에 콜라까지 부은 결과 - 아시아경제
- "보이면 바로 쟁여" 쏟아진 후기…다이소, 또 나온 '품절대란' 아이템[써보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