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국립한글박물관에 불…소방대원 1명 부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일 오전 8시 40분께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불이 났다.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50분 만에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장비 39대와 인력 140여명을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박물관이 증축공사로 휴관 중이라 관람객은 없었지만, 불을 끄기 위해 박물관 내부로 진입했던 소방대원 1명이 철근 낙하물에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다.
또 박물관 안에 있던 작업자 2명이 구조됐고 4명이 대피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일 오전 8시 40분께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불이 났다.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50분 만에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장비 39대와 인력 140여명을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불은 3층에서 시작돼 4층으로 번졌는데, 4층에 쌓여 있는 자재로 진입이 어려운 탓에 불길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박물관이 증축공사로 휴관 중이라 관람객은 없었지만, 불을 끄기 위해 박물관 내부로 진입했던 소방대원 1명이 철근 낙하물에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다.
또 박물관 안에 있던 작업자 2명이 구조됐고 4명이 대피했다.
문화유산 피해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박물관은 증축공사를 시작하면서부터 유물 전반을 수장고에서 별도로 관리하고 있는데,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소장품을 인근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길 예정이다.
박물관은 2014년 한글과 한글문화를 알리기 위해 개관했으며, 조선 제22대 임금인 정조(재위 1776∼1800)의 편지와 글씨를 모은 '정조 한글어찰첩'과 한국 최초 가집 '청구영언' 등 다양한 보물을 소장하고 있다.
소방당국은 증축공사 현장에서 철근 절단 작업을 하던 중 불티가 튀어 화재가 시작됐을 수 있다고 보고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이승은 기자 selee2312@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李 정부, ‘전작권 전환’ 논의 돌입…한동훈 “전략 고려해야”
- 이재명 대통령 “경부고속도로 같은 AI시대 고속도로 만들 것”
- 與, ‘코스피 3000’ 돌파에 李 대통령 영향 강조…“정부 기대감”
- 오아시스, 티몬 인수 불발…23일 법원 강제 인가 ‘촉각’
- 李대통령, ‘AI 3대 강국’ 시동…“지방도 첨단산업 중심 된다”
- 김용현 추가기소 사건, 형사합의34부가 맡는다
- 장마 본격 시작…수도권 등 최대 150㎜ 폭우 [쿠키포토]
- 與, ‘내란특검 수사 대비’ 의혹 제기에…野 “사실관계 달라”
- 법원, 홈플러스 회생계획 인가 전 M&A 신청 허가
- 서울 지하철, 온도 민원 폭주…같은 칸에서도 ‘덥다’ ‘춥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