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객이 직접 비상구 열고 대피" 보도에 에어부산 "비상구 자리 손님의 역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에어부산이 29일 전날 발생한 부산발 홍콩행 BX391편 화재에 대한 탈출 경위 등 공식 입장을 밝혔다.
에어부산에 따르면 지난 28일 오후 9시 55분 출발 예정이었던 에어버스(A321)가 20여분 출발 지연되면서 기내 후미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에어부산 측은 당시 승객 탑승이 완료된 뒤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 기내 후미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승객과 승무원 전원이 신속히 대피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장, 유압·연료 계통 차단 후 비상탈출 선포
에어부산이 29일 전날 발생한 부산발 홍콩행 BX391편 화재에 대한 탈출 경위 등 공식 입장을 밝혔다.
에어부산에 따르면 지난 28일 오후 9시 55분 출발 예정이었던 에어버스(A321)가 20여분 출발 지연되면서 기내 후미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탑승인원은 외국인 22명을 포함한 승객 169명과 승무원 6명, 탑승정비사 1명 등 모두 176명이었다. 이들 가운데 비상탈출하면서 3명이 가벼운 부상을 입어 병원으로 이송됐고 이중 2명은 진료 후 귀가한 상태이다. 승무원 4명은 연기 흡입으로 병원에 이송됐다 진료받은 뒤 별다른 이상이 없어 귀가했다.
에어부산 측은 당시 승객 탑승이 완료된 뒤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 기내 후미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승객과 승무원 전원이 신속히 대피했다고 설명했다.
최초 화재를 목격한 승무원은 “후방 왼쪽 선반에서 발화한 것을 확인해 탑승자 전원을 대합실로 대피하도록 안내했다”고 말했다.
화재를 확인한 캐빈승무원은 즉시 기장에게 상황을 보고했고 기장은 2차 피해가 없도록 유압 및 연료 계통 기기를 즉시 차단한 뒤 비상탈출을 선포했다.
에어부산 측은 “별도의 안내방송을 할 시간적 여유가 없이 동시다발적으로 긴박하게 이뤄진 상황이었다”며, “짧은 시간 내 관련 절차에 따라 신속하게 조치해 탈출업무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또 승무원이 아닌 승객이 비상구를 열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비상구열 착석 손님은 탑승 직후 승무원에게 비상탈출 시 비상구 개폐 방법에 대해 안내받고 승무원을 도와주는 협조자 역할에 동의해야만 착석이 가능하며 비상탈출 시 승객이 직접 비상구 조작과 탈출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에어부산은 내국인 승객에 대해선 교통비를 지원했고 외국인 손님 22명에겐 별도로 숙박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사고기를 대체할 항공편 운항 스케줄도 알렸다. 29일 오후 10시 BX3971편이 부산에서 홍콩으로 떠날 예정이고 다음날인 30일 오전 3시 10분 BX3972편이 홍콩에서 부산으로 출발한다.
박형준 부산시장 등 부산시 직원들은 30일 오전 김해공항을 방문해 사고 현장을 둘러보고 대책회의를 진행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차주 없어? 뒤집읍시다"…소방차 진입 막은 입주민 차 결국 - 아시아경제
- "월 1200만원 법니다"…'아내 4명'과 사는 일본남성 근황 화제 - 아시아경제
- 박중훈 "아버지, 6·25 한국전쟁 국가유공자 지정…자랑스럽고 그리워" - 아시아경제
- 폭설에 지연되는데…비행기 날개 올라간 승무원들 '찰칵' - 아시아경제
- 1억3000만원에 내놨는데 순식간에 품절…'칼군무' 추던 휴머노이드 로봇 - 아시아경제
- 40년 산 집 떠나는 노인들…"재건축 하면 어디로 가라고"[내 집을 시니어하우스로] - 아시아경제
- 주5일 밥 주는 경로당, 30명 한 끼 예산 7만원 '빠듯'[내 집을 시니어하우스로] - 아시아경제
- 천하람, '조문 강요' 논란에 "장원영, 하늘양 조문 말아야" - 아시아경제
- [토허제 해제]매물 거두는 대치동…"분위기 완전 달라졌다" - 아시아경제
- '전두환 사진'으로 광주FC 도발한 中 관중…국내 팬들 '분노'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