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행안부 “비상계엄 국무회의록 없다” 헌재에 회신
대통령실 “행안부가 작성해야” 책임 넘겨
국무회의록 존재, 법 절차 이행 판단 주요 증거
행정안전부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을 심리 중인 헌법재판소에 12·3 비상계엄 국무회의 회의록이 “없다”고 공식 회신한 것으로 24일 확인됐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전날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변론에 출석해 “누군가는 (회의록을) 기록한 것으로 안다”고 답변했지만 행안부가 밝힌 것과 달랐다. 탄핵심판에서 비상계엄의 절차적 위법성 문제가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행안부는 전날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관련 회의록은 작성하지 못했다”며 “12월4일 계엄 해제 관련 회의록은 작성해 행안부 홈페이지에 공개했다”는 내용으로 헌재의 사실조회 신청에 회신했다. 다만 행안부는 비상계엄 해제를 위해 열렸던 지난해 12월4일 국무회의 회의록은 헌재에 제출했다. 대통령실은 헌재의 사실조회에 “국무회의록은 대통령실이 아니라 행안부에서 작성하는 것”이라며 “간사가 행안부”라고 회신했다.
대통령령인 ‘국무회의 규정’은 행안부 의정관이 국무회의 사회를 보고, 회의 내용을 토대로 회의록을 작성하도록 규정돼 있다. 하지만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엔 행안부 의정관이 사전공지를 받지 못해 참석하지 못했다. 이런 사례는 역대 정부에서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행안부는 지난달 10일 대통령실에 ‘국무회의 시작과 종료 시간, 참석자’ 등을 알려달라고 요청했는데, 대통령실은 “계엄 선포와 관련해 발언 요지가 없다”고 회신했다.
계엄 당시 국무회의록 작성 여부는 비상계엄 선포의 법적 절차를 지켰는지를 판단하는 주요 요소다. 헌재가 윤 대통령 측에 탄핵심판 초기부터 회의록을 요청한 이유다. 공공기록물법은 ‘대통령이 참석하는 주요 회의의 회의록, 속기록 또는 녹음기록을 작성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헌재는 앞서 진행된 변론준비절차에서 윤 대통령 측에 국무회의록 제출을 요구했다. 윤 대통령 측이 차일피일 미루자, 헌재가 직접 각 기관에 사실조회를 신청해 답변을 받았다. 윤 대통령 측은 앞서 헌재에 낸 답변서에서 “계엄 선포 당시 국무회의 심의를 거친 것은 엄연한 사실”이라며 “국무회의록은 사후에 작성되는 것으로, 계엄 효력에 아무 영향이 없다”고 주장했다.
김 전 장관은 전날 윤 대통령 탄핵심판 네 번째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누군가가 (회의록을) 기록한 것으로 안다”며 사실과 다른 답변을 했다. 김 전 장관은 ‘당시 국무회의가 불과 5분간 요식행위로 이뤄져 계엄법에 규정된 절차를 위반했다’는 지적에 대해 “국무회의는 짧게 했지만, 그 전인 (12월3일) 오후 8시30분부터 국무위원들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1시간30분 정도 심의가 이뤄졌다고 보면 된다”고 주장했다. 국무회의 개최에 필요한 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상황에서도 심의가 이뤄졌다는 주장이다. 김 전 장관 주장을 인정하더라도, 1시간 반 동안 진행된 국무회의의 사후 근거자료조차 남아있지 않은 것이다.
유선희 기자 yu@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극우 카톡방’ 5곳 잠입 취재해보니…“명찰 없는 경찰, 중국인” “탄핵 죽음으로 막자” 선
- 나경원, ‘헌재 외국인 임용 제한법’ 발의···‘헌재에 중국인 있다’ 음모론 의식?
- 헌재 ‘속도전’에 윤석열 ‘지연 전략’ 와르르…이르면 3월 중순 선고
- [단독]‘우두머리’ 윤석열은 ‘황제 접견’ 중인데…지시 따른 사령관은 두달 간 가족도 못봤
- 김성태, 이철규 저격 “윤석열 망친 간신을 간신이라 했더니 고소”
- [단독]여인형 “방첩사 가장 큰 리스크는 신병 확보 명단 작성”…위법성 미리 알았다
- 배우 이하늬 60억 세금 탈루설…소속사 “고의 누락 아냐, 전액 납부”
- 김종대 “윤석열, 합참 결심지원실 나올 때 술 냄새 났다는 증언” 주장
- [속보]‘구인 예정’ 조지호 경찰청장, 헌재에 탄핵심판 불출석 사유 제출
- 배우 김새론 비보 전한 외신들···“K 엔터 산업의 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