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소비 탄탄하기에…올해 1%대 성장 [JAPAN NOW]
일본 경제는 코로나 사태로 2020년에 성장률이 마이너스(-) 4.2%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2021년 플러스(+) 2.8%로 반등에 성공한 뒤 5년 연속 플러스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경제가 기대를 거는 부분은 민간 소비다. 내수 기반이 탄탄한 일본은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절반가량을 민간 소비가 차지한다. 물가 상승으로 실질임금이 줄어들면서 그동안 가계소비가 주춤한 면이 있었다. 하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평균 임금 상승률이 5%대로 전망되는 가운데, 소득세 개편 등으로 가계의 실소득이 늘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실질임금이 개선되면서 올해 1% 안팎의 증가가 예상된다.
물론 올해도 2% 안팎의 물가 상승이 예상되는 등 고물가가 지속되는 건 부담이다. 다만 물가 상승률 역시 지난해보다는 다소 둔화할 것이라는 점이 희망적이다. 특히 1분기를 정점으로 상승세 둔화를 관측하는 목소리가 높다. 에너지 가격 상승세가 둔화된 데다 미국이 원유 증산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1%까지 올릴지 변수
달러당 엔화값이 지나치게 하락한 건 부담 요인이다. 부쩍 오른 수입 물가가 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엔저 덕분에 미국, 유럽 등지에서 찾아오는 관광객이 늘고 있고, 이들의 씀씀이 또한 커지고 있다. 일본을 찾는 ‘인바운드 관광객’의 소비는 현재 일본 경제에 긍정적인 흐름을 낳고 있다는 분석이다. 올해 주요 전망기관의 달러당 엔화값 전망치 평균은 140엔대 중반이다. 지난해 마감된 엔화값이 157엔 선임을 고려하면 10엔 이상 상승한다는 얘기다.
설비투자는 탄탄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대출 금리가 여전히 낮은 가운데 지난해 기업들이 실적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력 부족에 대비한 시설 투자와 탈탄소, 디지털 관련 투자 등이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라 실제 집행에는 다소 변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외 생산기지를 조정해야 할 수도 있고 대규모 투자 집행이 쉽지 않을 공산도 크다. 올해 노동 시장 또한 낮은 실업률이 유지되고 유효구인배율(구직자 1명당 구할 수 있는 일자리 수)은 여전히 1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중소기업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인력 부족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소비와 투자 등의 변수는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다. 지난해 3월 일본은행은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폐기한 뒤 7월 기준금리를 0.25%까지 끌어올렸다. 그간 금리 인상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던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가 지난해 말 기자회견에서 다소 완화된 언급을 내놓은 것이 변수다. 이에 따라 1월로 예상했던 기준금리 인상이 3월로 미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우에다 총재는 금리 인상에 필요한 조건으로 트럼프 정부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 해소와 춘투 진행 경과 확인을 제시했다. 이를 고려할 때 금리 인상 시기를 4월 이후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해외 투자은행들은 일본은행이 올해 최소 두 번의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본다. 내년 상반기에는 기준금리가 1%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도쿄 = 이승훈 특파원 lee.seunghoon@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92호 (2025.01.08~2025.01.14일자) 기사입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 부품’ 안 쓰는 삼성전자에 무슨 일?
- 홍준표, 정치인 중 첫 트럼프 취임식 초대...매너포트와 회동 - 매일경제
- 신세계 계열분리 속도...정용진, 모친 이마트 지분 전량 매수 - 매일경제
- 비트코인 정말 3억 갈까?…1.5억 예상 적중 ‘그’에게 물었더니 - 매일경제
- 더 강해지고 더 편해졌다 ...신형 팰리세이드, ‘아빠차’ 타이틀 방어전 [CAR톡] - 매일경제
- 이정재 회당 출연료 13억... 넷플릭스 ‘돈폭탄’에 몸값 올랐다 - 매일경제
- 치솟던 서울도 꺾였다…집값 좌우할 변수 5 [카드뉴스] - 매일경제
- “출근하다 죽기 싫어서”...승강장 벽에 붙은 시민들, 왜? - 매일경제
- “오빠, ‘옆반포’라더니 3억 빠졌어”...집주인 ‘비명’ [김경민의 부동산NOW] - 매일경제
- 트럼프 인플레 서막…미 국채 금리 ‘발작’ 우려 고조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