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켈價 4년래 최저...'엎친 데 덮친 격' K배터리 어쩌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배터리 생산에 핵심으로 쓰이는 니켈 가격이 t당 1만5000달러 이하로 떨어지며 2020년 10월 이후 사상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배터리 소재사 관계자는 "광물 가격이 보통 3~6개월 정도 시간을 두고 양극재 판매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하락은 곧 매출과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진다"며 "t당 1만5000달러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보고 충격 받았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리튬 가격도 2021년 2월 이후 최저
광물가 하락, 매출·영업이익 직결
헷징 수단 두고 있지만 역부족
추세를 보면 계속 하락세다. 올해 5월 21일만 해도 t당 2만1275달러였던 니켈 가격은 7개월 만에 29.7% 급락했다.
광물 가격 하락의 원인은 전기차 '캐즘'(일시 수요 둔화)에 따른 배터리 수요 감소, 중국발 과잉 공급 등이 꼽힌다. 중국은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등 여러 지역에서 광물 직접 계약을 하는 등 자원 확보를 위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배터리 핵심 광물 가격이 4~5년 만에 역대 최저를 기록하자 배터리 소재사들의 근심도 커지고 있다. 한 배터리 소재사 관계자는 "광물 가격이 보통 3~6개월 정도 시간을 두고 양극재 판매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하락은 곧 매출과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진다"며 "t당 1만5000달러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보고 충격 받았다"고 했다.
광물 가격 하락은 완성 배터리 업체에도 영향을 미친다. 배터리 소재의 판매 가격은 또 다시 일정 기간을 두고 배터리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배터리 가격 하락은 곧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실적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원료 수급처 다변화, 차세대 배터리 개발, 원가 절감, 재고 조정 등 여러 헷징(위험 회피) 수단을 두고 있지만 사실상 역부족이다. 지금 당장은 업황 개선과 광물 가격 반등이 거의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시급한 과제는 또 있다. 내년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으로 불확실성이 상당히 높아진 것이다.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은 현재 전기차 보조금 축소와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현재 (상황이) 어려운 것은 명백한 사실"이라며 "다만 전기차 시장이 커지고 있는 만큼, 지금 이 시기를 잘 버텨야 캐즘 이후 경쟁력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내 집에 안 오길래 주차장 가봤는데…차안에 애인과 알몸으로"
- "딸이 있다고?"..코요태 신지 '7살 연하' 예비신랑, 뜻밖의 고백
- 이봉원, ♥박미선 생각에 연신 눈물 "가장 아플때 같이 못 있어줘"
- 재혼 이상민, 10세연하 부인 공개…시험관 도전
- 쓰러진 여대생 결국 사망…원인은 '고용량 카페인'? [헬스톡]
- '킬링로맨스' 배우 이서이, 43세 안타까운 사망…뒤늦게 알려져
- 남편 '무정자증'인데…상간녀·아내 둘 다 임신
- 187억에 성수동 아파트 매도한 최란·이충희 부부, 8년 만에 150억 시세 차익
- "야동 매일 보면서 내겐 '섹스 리스'…결혼하자는데" 30대女 고민
- 김종국 "62억 빌라, 결혼 준비 맞다…♥여친 공개는 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