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2년엔 국내 가구 절반 이상이 수도권 거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52년 국내 총가구 중 수도권 거주 가구 비중이 절반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모든 시·도에서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아지고, 10가구 중 4가구는 1인 가구일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장래가구추계(시도편): 2022~2052년'을 보면 국내 총가구는 2022년 2166만 가구에서 2052년 2328만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고령자 1인 가구 비중도 8.9%에서 21.3%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52년 국내 총가구 중 수도권 거주 가구 비중이 절반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모든 시·도에서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아지고, 10가구 중 4가구는 1인 가구일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장래가구추계(시도편): 2022~2052년’을 보면 국내 총가구는 2022년 2166만 가구에서 2052년 2328만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2052년 총가구의 51.2%는 수도권 가구로 전망된다. 17개 시·도 중 경기(653만) 서울(397만) 인천(145만) 순으로 가구 수가 많았다. 2022년에는 경기(537만) 서울(408만) 부산(144만) 순으로 가구 수가 많았고, 수도권 가구 비중은 49.2%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방에서 이탈한 인구가 수도권으로 쏠리는 현상이 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22년 전체 가구 중 34.1%를 차지했던 1인 가구는 2052년 41.3%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평균 가구원 수도 2.26명에서 1.81명까지 줄 것으로 추산됐다. 고령자 가구 비중은 2022년 24.1%에서 2052년 50.6%로 늘 것으로 보인다. 고령자 1인 가구 비중도 8.9%에서 21.3%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세종=김윤 기자 kyoo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스닥, 사상 첫 2만 고지 돌파… 국내 증시는 주말이 고비
- 반복되는 사전투표 조작설… “실체는 없다” [팩트체크]
- 소상공인 3명 중 1명, “계엄 사태 이후 매출 ‘반토막’”
- 시신 지문으로 대출까지…31세 양정렬 신상공개
- “전두환 살아온 줄” “극우보수 유튜브냐” 尹 담화에 野 격앙
- “계엄, 야당 멈추려한 ‘경고’였다”… 끝내 잘못없다는 대통령
- “TV 보고 계엄 안 사람 손 들라”에 ‘우르르’ 손 든 군 지휘관들
- [내일을 열며] 정우성을 다시 소환하다
- “내란수괴, 부끄럽다” “응원한다!”… 尹 인스타 댓글 홍수
- 계엄 1주일, 금에 511억 몰렸다…6일 연속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