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에 멈춰버린 외교…안보 시스템은 '자중지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상계엄 여파로 외교·안보 시스템에 제동이 걸렸다.
국정 동력을 사실상 상실한 상태지만, 국가정상으로서의 지위와 군 통수권은 여전히 윤석열 대통령의 몫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퇴진 로드맵'은 국내 정치는 물론, 외교적으로도 설명이 불가능한 상태다.
국군방첩사령부 등 계엄에 연루된 부대 장성들은 책임을 회피하며 윤 대통령에게 등을 돌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출범 등 굵직한 현안들 산적
비상계엄 여파로 외교·안보 시스템에 제동이 걸렸다. 국정 동력을 사실상 상실한 상태지만, 국가정상으로서의 지위와 군 통수권은 여전히 윤석열 대통령의 몫이기 때문이다. 굵직한 대외 현안들과 군사적 비상 상황에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겠냐는 우려가 나온다.
9일 외교가에 따르면 정부 안팎에선 당장 외교적 결정을 내릴 주체가 모호해졌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정부·여당은 대통령 직무정지 없이 권한만 행사하지 않도록 한 채 국정을 수습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퇴진 로드맵'은 국내 정치는 물론, 외교적으로도 설명이 불가능한 상태다. 이미 '계엄 리스크'로 외교적 신뢰도가 크게 훼손된 상황에서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내년에는 굵직한 외교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당장 1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이끄는 미국의 신 행정부가 출범한다. 한미 정상회담을 조기에 추진한다는 구상도 현재로선 불가능하다. 6월에는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는다. 11월에는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개최한다. 최근 고위급 교류를 활발히 전개해온 한중관계도 제동이 걸렸다.
군 당국에 대한 통제도 문제다. 북한의 오판 등 유사시 군 통솔이 가능할지 의문이 제기된다. 국군방첩사령부 등 계엄에 연루된 부대 장성들은 책임을 회피하며 윤 대통령에게 등을 돌렸다. 야권에선 비상 상황을 악용한 '2차 계엄'까지 주장하고 있어 군의 부담은 더 커졌다.
국가정보원도 원장과 1차장 간 갈등상을 여과 없이 표출했다. 홍장원 전 1차장은 윤 대통령이 계엄 당시 주요 정치인 등에 대한 체포를 지시했다고 폭로했지만, 조태용 원장은 그런 지시를 받거나 전달받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이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은 권한을 계속 행사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6일 국정원 1차장을 교체했고 전날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사의도 재가했다.
익명을 요구한 외교 전문가는 "현재로선 우방국 간 의제 조율에서 한국이 배제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의 '조기 퇴진'이라는 게 언제, 어떻게 이뤄질 것인지 명확히 해야 한다"고 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직원들에 나눠준 복권 12억 당첨되자 "가져와, 다 같이 나누자" - 아시아경제
- "왜 안 먹어요 석열씨"…尹 체포에 '구치소 선배' 조국 밈 등장 - 아시아경제
- "뭔죄가 있다고 잡혀가나"…배우 최준용 부부, 尹 체포에 오열 - 아시아경제
- "아이만 탔다면 옆좌석 남자 안돼"…이유 물으니 "성범죄 98% 남자여서" - 아시아경제
- "안내견은 위험해서 안됩니다" 다이소 매장에서 시각장애인 앵커가 당한 차별 - 아시아경제
- 윤상현 "민주당 독재에 尹 사냥당해…민주당 동조세력이 부역자" - 아시아경제
- "유물 4만4천점 지켰다"…LA 화재에 살아남은 미술관 비결 - 아시아경제
- "내 돈 먼저 본 사람이 임자"…김성수, 수십억 사기 피해 고백 - 아시아경제
- 티백 우려 마셨는데 플라스틱 먹었다고?…연구결과 화들짝 - 아시아경제
- '여동생 간병인 구함' 수상하더니…그 사건이었어?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