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대란부터 일회용컵 논란까지, 플라스틱협약 몇 장면
[그리니엄]
▲ 지난 11월 27일 한 회의실 앞에서 참관인들이 수용인원 부족으로 들어가지 못해 줄을 서있는 모습. |
ⓒ Melissa Wang, Linkedin |
"한국 정부의 환대에 감사를 표한다."
플라스틱 국제협약 성안을 위한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INC-5·이하 5차 회의) 마지막날, 각국 대표단은 이같은 인사로 발언을 시작했습니다.
5차 회의는 부산 벡스코에서 지난달 25일 개막해 2일 새벽 3시에 막을 내렸습니다. 국제사회는 5차 회의에서 협약을 성안한단 계획이었으나 국가간 이견차로 합의를 이루지 못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외교부·환경부·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가 힘을 합쳐 성안을 위해 끝까지 노력했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협상장에서는 개막식 이튿날부터 개최국인 한국의 준비가 부족하다는 볼멘소리가 국내외 참가자들로부터 나왔습니다. 취재 결과, 회의 중후반부까지 유사한 문제가 여전하거나 뒤늦게 해소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리니엄은 개막식 당일과 회의 후반 나흘간(11월 29일~12월 1일) 현장에 상주해 취재를 진행했습니다.
와이파이 대란에 아우성…회의 5일차에 드디어 개선
벡스코에서 열린 5차 회의는 친환경 회의를 표방하며 종이 사용을 지양했습니다. 이에 문서 대다수가 전자문서로 공유됐습니다. 하지만 벡스코 내 와이파이 연결이 원활하지 못해 문서 확인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참가자들은 공통적으로 회의장 내 와이파이 불편 문제를 겪었습니다. 와이파이 주소와 비밀번호에 대한 안내도 부족했습니다. 일례로 벡스코 제1 전시실 내 마련된 기자실에서는 와이파이 주소와 비밀번호에 대한 안내 문구를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이날 무선인터넷 목록에는 기자들의 개인 핸드폰 핫스팟으로 추정되는 주소들이 가득했습니다.
협상장 역시도 인터넷 사용이 원활하지 않아 대표단들이 불편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불만이 커지자 주최 측은 즉각 대응에 나섰습니다. 다만, 기자실은 지난달 29일 오전에야 안내 종이를 붙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날은 회의 닷새째를 맞은 날이었습니다. 이유나 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국제협력팀장은 참관인 자격으로 부산을 찾은 일부 해외 환경단체가 공항까지 찾아가 무선공유기를 빌려왔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사람 가득 찬 회의실, 저가항공 좌석 같아"
회의실, 즉 협상장 공간 부족 문제도 계속됐습니다. 이 팀장은 사람들의 어깨가 닿을 정도로 붙어 앉아 "마치 회의 내내 저가항공 좌석에 끼어있는 것 같아 답답했다"고 토로했습니다.
감시자 역할을 해야 할 참관인들이 자리 부족으로 복도를 서성이는 모습도 연출됐습니다. 모든 회의가 비공식 회의로 전환됨에 따라 참관인들의 회의 참여 자체가 막혔고, 이는 11월 29일까지 계속됐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회의장 좌석·공간 배치 등을 유엔환경계획(UNEP) 측이 맡고 있어 정부 역할에 한계가 있었단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UNEP 측은 "회의장 확보와 준비는 한국 책임"이라고 밝혔습니다.
▲ 플라스틱 국제협약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INC-5)가 진행되는 협상장 안에서 운영되던 카페. 모든 식기가 플라스틱이 코팅된 일회용품으로 제공됐다. |
ⓒ 플뿌리연대 |
5차 회의에서는 협상장 내 일회용품 사용을 두고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회의에서 플라스틱이 코팅된 일회용품이 사용됐기 때문입니다.
2일 그리니엄과의 통화에서 조계연 기후변화외교과장은 "UNEP과 '플라스틱 없는 회의(Plastic Free Meeting)'를 추진함에 따라 플라스틱 다회용기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는 UNEP과 사전 협의를 거쳐 재활용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를 제공했다는 입장입니다. 또 수거를 위해 반납을 요청하는 안내 문구를 회의 도중 부착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조 과장은 참가자에게 우선적으로 개인컵 사용을 안내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단, 협상장과 별도로 환경부가 운영하는 부대행사 공간에서는 다회용기가 사용되는 모습이 확인됐습니다.
1전시장의 협상장 운영은 외교부·UNEP, 2전시장 부대행사 운영은 환경부가 맡았습니다. 5차 회의 준비와 관련해 외교부와 환경부 간 소통이 부족했던 것 아니냔 지적에 대해서 "물론 소통이 필요한 것도 있다"면서도 "두 전시장 간 통일된 운영보다는 UNEP과의 협의에 중점을 뒀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기후테크 전문매체 그리니엄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000억 원 포기하고 대한민국은 무엇을 얻었나
- 202호 손님의 죽음...여인숙 사장님의 제안에 얼어붙었다
- '윤석열 퇴진 촛불',국민을 위한 충격요법이 필요하다
- "역대급 지원", "전례 없는 지원"...윤 대통령, 지지율 다급했나
- AI 디지털교과서가 바꿔놓을 교실 풍경... 너무 끔찍한데?
- '죽고 싶다' 울던 딸... 그 사건이 모든 걸 바꿔 놓았다
- 백발 어르신들의 기사쓰기가 작은 기적인 이유
- [손병관의 뉴스프레소] 김건희 특별법 또 연기 가능성, 왜?
- 감사원, '대통령 소속'부터가 문제다
- 라디오DJ가 된 윤 대통령 "여러분, 저 믿으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