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생기고, 듬직한 아들이었는데”… ‘이것’ 먹었다가 즉시 사망, 무슨 일 있었나?

김예경 기자 2024. 11. 13. 18: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외토픽]
호를리와 호를리 엄마의 모습(왼)과 친구가 권유한 트라마돌을 먹은 후 사망한 윌리엄 호를리의 모습(오)/사진=데일리 메일
마약성 진통제인 트라마돌을 복용했다가 사망한 영국 10대 소년의 사연이 공개됐다.
지난 12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영국 남성 윌리엄 호를리(17)는 입대 전 친구들과 식사 중 트라마돌 복용을 권유받았고, 호를리는 트라마돌이 마약성 의약품인줄은 알았으나 호기심에 복용했다. 트라마돌은 중추신경계에서 통증 자극 전달에 관여해 진통 효과를 내는 진통제 역할을 한다. 호를리의 친구인 제이크 민터는 다크웹(암호화된 네트워크에 존재하며 특수 경로로만 접속이 가능한 특정 웹사이트)에서 트라마돌을 60파운드(한화 약 10만 원)에 구매했고, 함께 식사했던 친구들에게 나눠줬다. 트라마돌을 먹은 다른 친구들은 문제가 없었으나 호를리는 즉시 사망했다. 사망 원인은 ‘트라마돌 과다 복용’이었다. 재판부는 트라마돌을 제공한 민터에게 ‘C급 약물 공급’을 이유로 징역 9개월을 선고했다. 호를리의 엄마는 “호를리는 학교에서 운동선수를 할 정도로 활동적이며 잘생기고 듬직한 아들이었다”며 “마약 중독자가 아니었지만, 한 번의 결정으로 끔찍한 사고를 겪었다”고 말했다.

◇국내에선 진통제, 해외에선 마약으로 분류
트라마돌(Tramadol)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암처럼 중증‧중증도 통증에 주로 사용되는 ‘마약성 진통제’다. 일반적으로 진통제는 아스피린과 같은 NSAIDs(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계열의 약제를 쓴다. 이 약제들이 효과가 없을 때 쓰이는 것이 마약성 진통제다. 트라마돌이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첫 번째로 비마약성 작용이다. 세로토닌 분비를 자극하고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해 통증을 덜 느끼게 한다. 두 번째는 마약성 작용이다. 트라마돌은 아편과 같이 뇌와 척수에 있는 단백질에 결합해 통증 지각을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트라마돌은 아편과 유사한 성분을 갖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트라마돌을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향정신성 의약품이란 복용 후 환각‧각성‧수면‧진정 작용하며, 오남용하면 신체‧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는 약품으로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등에 의해 지정‧관리된다. 반면 미국에서 트라마돌을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분류했다. 미국 마약단속국(DEA)은 의존성에 따라 마약류를 5단계로 나눈다. DEA는 트라마돌을 ‘Schedule Ⅳ substance’로 분류했다. ‘Schedule Ⅳ substance’는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향정신성 의약품이라는 뜻이다.

◇마약처럼 의존하고 중독되는 부작용 존재
트라마돌의 문제점은 마약처럼 중독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트라마돌에 중독된 상태에서 갑자기 끊으면 금단증상으로 불안‧초조함을 느끼고 두통‧불면증을 겪는다. 트라마돌을 장기간 복용할 경우 약물의존성이 증가한다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보고도 있다. 지난 2014~2018년 사이 발생한 트라마돌 성분 약물부작용을 조사한 결과 ▲2014년 6160건 ▲2015년 764건 ▲2016년 8119건 ▲2017년 8731건 ▲2018년 8960건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트라마돌 의존과 관련해 미국 약물중독 정보 사이트(DrugRehab.com)는 “통증 완화를 위해 ▲트라마돌을 과다복용하거나 ▲트라마돌을 얻기 위해 억지로 처방전을 받거나 ▲트라마돌 복용을 중단하기 어려운 경우, ‘트라마돌 중독’을 의심해야 한다”고 했다. 이뿐만 아니라 트라마돌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 메스꺼움, 구토, 변비, 졸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트라마돌은 전문의와 자신의 ‘통증 정도’와 ‘병력’에 대해 철저히 상담하고 확인해 처방받아야 한다. 만약 항우울제나 기타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 중이라면, 의사에게 꼭 알려야 한다. 타인 명의로 처방된 약을 먹는다거나, 약을 모으거나, 임의로 용량을 조절하면 안 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