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손이 가지 않던 모과, 이렇게 좋은 걸 몰랐네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표면에 손톱만 한 갈색 반점이 생기고, 반점이 점점 커져 전부 갈색으로 변하고 나서야 모과는 우리 집을 떠났다.
단단한 모과의 과육을 자르는 일은 쉽지 않았다.
모과씨는 섭취 시 독성을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니 꼭 제거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원미영 기자]
울긋불긋해진 마른 잎들이 바람결에 이 집 저 집으로 날아든다. 마당 데크와 잔디밭엔 너저분한 낙엽들이 쌓였다. 울타리 전체를 감싸고 있던 담쟁이 덩굴도 불그스름하게 물들어 가을의 정취를 뽐낸다. 해가 짧아져 오후 다섯 시만 넘어도 사위가 칠흑 같다.
앞집 할아버지 댁 키 큰 모과나무엔 모과 몇 알만이 덩그러니 달려있다. 할아버지는 매년 늦가을에 노랗게 익은 모과 몇 알을 가져다 주셨다. 왁스를 바른 것처럼 미끄덩거리는 열매를 받아 들고는 어찌해야 할지 몰라 난감했던 기억이 난다.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키고, 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라는 속담처럼 모과의 생김새는 울퉁불퉁했고, 영 손이 가지 않았다.
코끝에 스치는 달큼한 향에 어릴 적 기억이 떠올랐다. 이맘때면 텔레비전 위에 늘 올려져 있던 열매. 엄마는 대체 저 못생긴 과일을 철마다 어디서 가져와 올려두는 것인지 이해하지 못했다. 특유의 향에 거부감을 느끼며 눈살을 찌푸리던 내 표정까지 그려졌다.
노란 열매는 금방 관심 밖으로 밀려나 있는 듯 없는 듯 존재감을 잃었다. 표면에 손톱만 한 갈색 반점이 생기고, 반점이 점점 커져 전부 갈색으로 변하고 나서야 모과는 우리 집을 떠났다.
모과청 만들기
좋지 않은 기억으로 남아 있는 모과를 엄마처럼 똑같이 집안에 그대로 두고 싶지는 않았다. 고민 끝에 울며 겨자 먹기로 모과청을 만들기로 했다. 단단한 모과의 과육을 자르는 일은 쉽지 않았다. 손을 다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반으로 가른 모과 안에는 까만 씨앗이 보인다. 아이는 씨앗을 보고 괴물 이빨 같다고 했다. 모과씨는 섭취 시 독성을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니 꼭 제거해야 한다. 손에 힘을 잔뜩 주고 과육을 적당한 크기로 썰고 나면 손목이 뻐근하다 못해 어깻죽지까지 아팠다.
잘라둔 모과는 동량의 설탕과 버무려 열탕 소독한 유리병에 담으면 완성이다. 실온에서 일주일 정도 숙성 후 먹으면 된다. 주전자나 냄비에 끓여 먹으면 더욱 진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노동에 대한 대가는 달콤했다. 숙성된 모과청으로 끓여낸 모과차의 맛은 눈이 번쩍 뜨일 정도로 매력적이었다. 나이가 들어 취향이 바뀐 것일까? 애초에 생김새로 오해받던 모과의 진심을 몰랐던 것일까?
향긋하고 우아한 맛에 푹 빠져 나는 매년 모과청을 담았다. 환절기 목이 따갑고 으슬으슬한 기운이 느껴지면 뜨끈하고 달큼한 모과차 한 잔을 마셨다. 그러고 나면 기웃대던 감기 기운이 싹 달아났다. 실제로 모과는 비타민C가 풍부하고 기침과 가래를 완화하는 효능이 있어 기관지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궁금한 이웃의 안부
▲ 단단한 모과 두 알 |
ⓒ 원미영 |
▲ 내가 만든 모과청, 모과차는 향긋하고 우아한 맛이 난다. |
ⓒ 원미영 |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