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틀어막자 2금융권 '쑥'…10월 가계대출 6.6조원↑
[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제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면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증가 폭이 9월보다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11일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10월 중 6조6천억원 늘어 9월(+5조3천억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주택담보대출은 5조5천억원 증가해 전월(+6조8천억원)보다 증가 폭이 줄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은행권과 제2금융권 나란히 증가로 전환해 총 1조1천억원 늘었다.
업권별로는 2금융권 가계대출이 급증했다.
2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7천억원 늘어 전월(-3천억원)과 비교해 크게 증가했다. 지난 2021년 11월(+3조원) 이후 2년 11개월 만의 최대 증가 폭으로,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기조의 여파로 '풍선효과'가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주택담보대출이 1조9천억원 늘어 전월(+7천억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중도금·잔금대출 증 집단대출 위주의 대출 수요 이동이 두드러졌다.
기타 대출은 카드론, 보험계약 대출 등을 중심으로 8천억원 늘었다.
세부 업권별로는 상호금융권 가계대출이 9천억원 불었다.
특히 새마을금고가 1조원 늘어나며 상호금융권 증가세를 이끌었다. 농협(+200억원), 수협(+500억원) 등도 증가세를 보였으며 신협(-2천억원), 산림(-100억원) 등은 소폭 감소했다.
여신전문금융사도 9천억원 늘었으며, 보험(5천억원), 저축은행(4천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여전업권은 카드론, 보험업권은 보험계약대출, 저축은행업권은 신용대출 위주로 각각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서민·취약계층의 '급전 통로'로 분류되는 상품들이다.
반면,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 흐름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천139조5천억원으로 9월 말보다 3조9천억원 증가했다.
올해 4월부터 7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지난 9월(+5조6천억원)보다는 증가 폭이 크게 줄었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00조3천억원)이 3조6천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8조1천억원)이 3천억원 각각 증가했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은 은행 자체 주택담보대출이 1조5천억원, 정책성 대출이 2조1천억원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1천324조3천억원으로, 9월 말보다 8조1천억원 늘어 전월(+4조3천억원)에 비해 증가 폭이 확대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대출이 각각 2조9천억원, 5조3천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 가운데 중소법인의 대출이 4조9천억원 늘었다.
중소기업 대출은 부가가치세 납부, 중소법인 시설 자금 수요 등으로, 대기업 대출은 분기 말 일시 상환분 재취급 등으로 각각 증가 폭이 확대됐다는 게 한은 설명이다.
10월 말 예금은행의 수신(예금) 잔액은 2천399조2천억원으로, 9월 말보다 8조4천억원 불었다.
정기예금은 은행의 규제 비율 관리를 위한 예금 유치 노력과 지방자치단체 자금 일시 예치 등으로 14조4천억원 증가한 반면, 수시입출식 예금은 부가세 납부 등으로 12조5천억원 감소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머니마켓펀드(MMF·+17조5천억원), 채권형 펀드(+5조6천억원) 등을 중심으로 29조6천억원 증가했다. 주식형 펀드에는 1조3천억원이 유입됐다.
한편, 금융위는 2금융권 가계대출 급증세에 따라 은행권에서만 제출받아온 연간 가계대출 관리 방안을 2금융권에서도 받기로 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새마을금고와 농협 등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뚜렷한 곳들을 대상으로 가계대출 취급 실태 점검에도 나설 계획이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