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명고가 전부 아닌데... '정년이' 여성국극, 이런 작품도

김종성 2024. 11. 10. 12: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종성의 사극으로 역사읽기] tvN <정년이>

[김종성 기자]

 tvN <정년이> 현장 포토
ⓒ tvN
tvN 시대극 <정년이>의 윤정년(김태리)은 첫 작품 <춘향전>의 방자 역을 무난히 소화한 뒤, 다음 작품인 <자명고>에서 단역인 군졸을 연기하다가 극을 망쳤다. 탁월한 노래 솜씨와 즉흥적인 연기로 관객의 시선을 자신에게 집중시키다가, 낙랑공주와 호동왕자가 주인공인 극의 흐름을 훼손했다.

진노한 매란국극단장 강소복(라미란 분)은 "넌 내일부터 무대에 설 수 없다"며 중형을 선고하고, 이로 인해 윤정년은 극단의 허드렛일을 떠맡게 된다. 하지만 이후 공연에서 주요 배역에 펑크가 났고, 강소복 단장은 다른 배역 대사까지 모두 외워둔 윤정년을 다시 올린다. 윤정년은 이전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고 배역을 훌륭히 소화해낸다.

1950년대에 전성기를 구가한 여성국극단들은 <춘향전>이나 <자명고> 같은 한국 고전뿐 아니라 당시로서는 생소한 외국 고전도 소화해냈다. 2008년에 <낭만음악> 제20권 제3호에 실린 주성혜의 논문 '전통예술로서의 여성국극'은 이 분야의 주요 소재 중 하나가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의 번안극 <청실홍실>, <오텔로>의 번안극 <흑진주>,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의 줄거리를 윤색한 <햇님달님>처럼 외국 문학을 재료로 삼은 것"이었다고 설명한다.

여성국극은 외국 고전들을 우리 음악으로 녹여냈다. 위 논문은 "창작된 대본에 붙여진 음악은 현재 우리에게 비교적 익숙한 혼성 창극의 성격과 역사를 통해 짐작할 수 있듯이 기존의 판소리, 민요 창법을 바탕으로 대금·아쟁·거문고·장고·가야금을 기본 구성으로 한 수성가락 반주로 구성됐다"고 기술한다.

지금의 우리는 <로미오와 줄리엣>을 서양 중세를 배경으로 머릿속에 형상화시키지만, 1950년대의 국극 관객들은 이 작품을 우리 역사를 배경으로 형상화시킬 수 있었다. 원작의 시대적 배경을 이해할 수 없다는 단점은 있지만, 외국 고전을 좀더 친숙히 대할 수 있었던 것이다.

발해판 로미오와 줄리엣

2013년에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26권에 실린 송소라의 '번안 여성국극의 원작 수용 양상과 문학적 함의'에 따르면, 1952년 11월 5일 부산극장에서 여성국극동지사가 초연한 <청실홍실>은 원수지간인 좌상과 우상의 자녀들을 등장시킨다. 고려성이 짓고 이유진이 각색한 이 작품은 우상의 딸인 홍랑과 좌상의 아들인 청사랑의 이룰 수 없는 사랑을 그려낸다.

좌상 가문과 우상 가문에서 비극적 사랑의 주인공들이 배출됐다는 설정은 캐풀렛 가문의 딸인 줄리엣과 몬터규 가문의 아들인 로미오를 등장시키는 원작보다 이해하기가 쉽다. 적어도 1950년대 한국 대중에게는 좌상과 우상을 대비시키는 이 방법이 더 친숙했을 것이다.

<청실홍실>의 역사적 배경은 남북국시대의 발해다. 그리고 종교적 배경은 불교다. <로미오와 줄리엣>에는 결혼 주례자로 로런스 신부가 등장하지만 <청실홍실>에는 발해 수도 상경의 스님들이 나온다. 이 번안작은 발해판 줄리엣과 로미오가 석가모니 탄신일에 첫 만남을 갖는다는 설정을 보여준다.

위 송소라 논문은 "제1막은 4월 초파일 관등노리 밤, 용천사 대웅전 앞에서 펼쳐진다"고 설명한다. 곳곳에 등불이 켜진 낭만적인 공간에서 좌·우상 자녀들이 부딪혔던 것이다. "가면을 쓰고 관등노리에 나온 좌상의 아들 청사랑과 우상의 딸 홍랑은 서로 만나 한눈에 반하지만, 서로 이루어질 수 없는 집안의 사랑임을 알고 절망하는 것으로 하막한다"고 서술한다.
 tvN <정년이> 현장 포토(자료사진)
ⓒ tvN
홍랑과 청사랑의 사랑은 두 가문의 대립관계 외의 다른 장애물에도 직면한다. 우상의 수양아들인 봉우는 홍랑을 좋아하고, 우상은 대내상의 조카인 용운을 사위로 맞이하고 싶어 한다. 홍랑의 아버지는 발해 최고 관부인 정당성을 이끄는 대내상과 사돈을 맺고 싶었던 것이다.

이런 장애물들에도 개의치 않고 홍랑과 청사랑은 한국 전통의 노래로 마음을 고백하고 용천사 부처님 앞에서 사랑을 맹서한다. 이 꼴을 볼 수 없었던 봉우는 청사랑에게 결투를 신청한다. 이 와중에 청사랑의 친구인 용춘이 봉우의 칼에 상처를 입는다. 용춘은 청사랑의 동생인 목화의 연인이다. 청사랑은 예비 매부인 용춘과 함께 봉우를 공격하다가 죽음에 이르게 만든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티벌트가 <청실홍실>에서는 봉우였던 것이다.

<청실홍실>은 이후 단계에서 원작을 무시한다. 한국전쟁 때 초연된 이 작품은 청사랑과 용춘이 전쟁터에 출정하는 쪽으로 스토리를 펼쳐나간다. 살인죄를 씻으려면 참전해야 한다는 원로스님의 조언에 따른 것이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녹가면이 두 사람이 살인죄 처벌을 피하고 전쟁터로 도피할 수 있게 도와준다.

녹가면은 홍랑과 청사랑을 돕는다. 청사랑이 행방불명된 상태에서 대내상의 조카와 혼인이 추진되는 것에 불안을 느낀 홍랑은 생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칼을 든다. 이때 등장해 홍랑의 죽음을 막고 그를 청사랑이 있는 데로 데려간 인물이 녹가면이다.

서양 작품 주체적으로 수용한 여성국극

작품 제목이 된 청실홍실은 원작과 다른 결말로 가게 될 것을 암시하는 기능을 한다. 청색 실과 홍색 실을 엮은 혼례 용품인 청실홍실은 원작처럼 비극적 결말이 아닌 해피엔딩으로 끝날 가능성을 보여준다.

전쟁터를 방문한 대내상과 좌·우상은 자객을 만난다. 이들을 구해준 군인들이 청사랑과 용춘이다. 그런 뒤 녹가면이 출현해 청사랑과 용춘의 전공을 재상들에게 보고한다. 이 대목에서 녹가면은 정체를 밝힌다. 녹가면은 우상이 사위로 삼고 싶어 했던 용운이다. 그런 용운이 홍랑에 대한 마음을 접고 홍랑과 청사랑의 '이룰 수 없는 사랑'이 이뤄지도록 하는 데 기여했던 것이다.

대내상은 청사랑과 용춘의 살인죄를 사면한다. 상호 반목했던 좌·우상도 화해한다. 이로써 홍랑과 청사랑의 장애물은 모두 사라진다. 아버지들은 화해했고 봉우는 죽었고 용운은 둘을 도왔다. 1950년대 한국판 <로미오와 줄리엣>은 이처럼 해피엔딩으로 결말을 맺는다.

송소라 논문은 <청실홍실>이 원작을 마구 무시할 수 있었던 배경을 "청실홍실은 셰익스피어가 문학적·연극적으로 국내에 제대로 소개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작품"이라는 말로써 설명한다. 그래서 원작 왜곡 논란에 휩싸이지 않고 여성국극의 레퍼토리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청실홍실>은 셰익스피어 원작의 진면모를 전해주지는 않았다. 하지만, 서양문명이 가장 부담스럽게 쇄도할 때인 1950년대에 그 물결에 떠밀리지 않고 주체적으로 수용하려 했던 여성국극인들의 역량과 태도를 반영하는 작품이라고 평할 수 있다.
 tvN <정년이> 현장 포토
ⓒ tvN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