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 3주째 줄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시작된 서울 아파트 가격 오름폭 감소세가 3주 연속 이어졌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대출 규제로 인한 매수자 관망세로 매물이 쌓이면서 상승 폭이 지난주보다 축소됐다"고 말했다.
광진(0.06%→0.08%), 양천(0.05%→0.06%), 관악(0.02%→0.05%), 금천(0.02%→0.04%) 등은 아파트값 상승률이 전주 대비 소폭 올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전세가 상승폭 하락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시작된 서울 아파트 가격 오름폭 감소세가 3주 연속 이어졌다.
7일 한국부동산원의 '11월 첫째 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 33주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다만 상승률은 지난달 둘째 주부터 내리막길을 걸었다. 지난달 둘째 주 0.11%였다가 이번 주 0.07%까지 둔화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대출 규제로 인한 매수자 관망세로 매물이 쌓이면서 상승 폭이 지난주보다 축소됐다"고 말했다.
구별로 보면 강남(0.18%)과 서초(0.14%)가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보이며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광진(0.06%→0.08%), 양천(0.05%→0.06%), 관악(0.02%→0.05%), 금천(0.02%→0.04%) 등은 아파트값 상승률이 전주 대비 소폭 올랐다. 송파(0.09%→0.06%), 성동(0.16%→0.14%), 용산(0.13%→0.11%), 마포(0.12%→0.09%) 등 지역은 상승 폭이 줄어들었다.
수도권은 0.05% 오르며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유지했다. 인천(0.01%→0.02%)은 상승 폭이 확대됐고, 경기(0.05%→0.04%)는 축소됐다.
지방은 0.02% 하락했지만, 전주(-0.03%)보다 하락 폭이 줄었다. 특히 세종(-0.08%)의 하락률이 두드러졌다. 이는 전주와 같은 수준인데, 세종 아파트 입주 물량이 생기면서 도담동, 한솔동 등 구축 위주로 집값이 내려간 여파다.
전국 기준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0.01%로 전주와 같다.
전세가도 상승 폭이 축소됐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 전세가 상승률은 0.06%로 전주(0.08%) 대비 감소했다. 하락 폭은 성동(0.23%→0.12%)에서 가장 컸다. 구로(0.02%→ -0.03%)와 송파(0.00%→ -0.03%)는 전셋값이 내려갔다.
수도권 상승률은 경기(0.08%→0.06%)와 인천(0.16%→0.14%)의 상승 폭이 줄어들면서 0.09%에서 0.07%로 하락했다
지방 아파트 전세가는 지난주 보합 상태(0.00%)에서 이번 주 0.01% 오르면서 상승 전환했다. 같은 기간 전국은 0.05%에서 0.04%가 됐다.
박승욱 기자 ty1615@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4세에 시작, 100번 했지만 만족스럽지 않아"…'성형 광풍' 中 외신도 경악 - 아시아경제
- "남편 없는 날 많아"…추신수 아내, 100억 美 저택에 만든 '이것' - 아시아경제
- "우리 회사도 필요해"…'하루 1회 이상 샤워' 공지글에 격한 공감 - 아시아경제
- "삐죽 웃으면 94%가 이혼하더라"…심리학자 근거는? - 아시아경제
- "배변량 줄고 자꾸 쉬려고 해"…중국 간 푸바오 또 - 아시아경제
- 3개월 딸 100만원에 판 친모…13년만에 '징역 1년' - 아시아경제
- "지금 내리면 430만원 드려요" 승무원 말에 승객들 "나도 나도" - 아시아경제
- "이게 1만2000원?"…체육대회 선수단에 제공한 도시락 '부실' 논란 - 아시아경제
- "차라리 병째 시키세요"…관광객들 다 속는다는 와인 '분갈이' - 아시아경제
- "이러다 굶어 죽어" 민폐 유튜버 소말리…서경덕 "처참한 몰락" - 아시아경제